뷰페이지

[심리학의 세상 유람] 한국 사회의 이중성 그리고 그 너머

[심리학의 세상 유람] 한국 사회의 이중성 그리고 그 너머

입력 2019-10-10 15:28
업데이트 2019-10-10 15: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태연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정태연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세계적인 석학 노엄 촘스키(Noam Chomsky)는 20세기 제 3세계 국가 중에서 경제적 성장과 정치적 민주주의를 모두 달성한 롤모델로 한국을 꼽은 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1990년대 말에 시작한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열풍, 소위 한류는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처럼 우리 사회에 대한 외부의 긍정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우리끼리는 서로를 비난하고 자신들 사회를 비하하기 일쑤다.

왜 이러한 일이 일어나게 되었을까? 그 하나의 이유를 우리의 현실을 평가하는 기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가령, 자신이 받은 국어점수 80점을 100점을 기준으로 보면 매우 뛰어난 점수는 아니지만, 같은 학년 전체 평균 60점을 기준으로 보면 상당히 잘한 점수인 것과 비슷한 원리다.

구한말 우리나라가 일제의 식민지가 되자, 그 시대를 이끌던 거의 대부분 사람들은 망국의 원인을 과거의 우리 전통에서 찾았다. 그러면서 그들은 일제의 굴레로부터 벗어나는 길을 서양에서 구했다. 즉, 서양의 문물을 하루빨리 받아들여 과거를 청산하는 것만이 나라를 되찾는 유일한 길이라고 믿었다.

그 결과, 우리의 전통은 미개하고 나쁜 것이기 때문에 빨리 없애야 할 대상이 된 반면, 서양은 근대적이고 좋은 것이기 때문에 속히 받아들여야 할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인의 가치관은 급변했다. 즉 그들은 원칙을 중시하고, 공정과 합리를 강조하는 사고방식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면서 그들은 이것을 잣대로 삼아 자신들 행동의 옳고 그름, 좋고 나쁨을 평가했다.

그러나 한국인들의 행동은 이러한 가치와는 매우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말하자면, 그들은 자신에게 유리하면 법과 원칙을 무시하기 일쑤이고 편법과 연고를 동원하는 행동을 일삼았다. 사태가 이렇다 보니, 한국인의 행동이 자신들의 눈에 좋게 보일 리가 없다. 원칙과 공정과 합리를 잣대로 볼 때 편법에 기초한 행동이 좋게 보일 수가 없다.

이처럼 한국인의 행동을 지배하는 원리와 그 행동을 평가하는 기준이 정반대의 속성에 기초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한국인의 행동이 삐딱하게 보일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삐딱한 시선을 강화하는 것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왜곡된 지각이다. 즉 그들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행동을 자신은 하지 않는다고 왜곡한다.

필자는 예전에 대학생과 성인들에게 앞서 언급한 부정적인 행동을 자신과 남들이 얼마나 하는지 평가하도록 요청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이러한 행동을 자신보다는 남들이 훨씬 더 많이 한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평가가 사실이려면 자신에 대한 참가자들의 평가는 타인에 대한 평가와 평균적으로 같아야 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았다.

이처럼 부정적 행동의 발생에 대한 자기중심적 인식은 한국인들이 서로를 비난하고 한국사회를 험담하는 행동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 사회가 이렇게 된 모든 원인과 책임을 남 탓으로 돌릴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반대로 자신의 책임을 일정 부분 인정한다면, 남 탓만 하기보다는 자신의 행동을 좀 더 바르게 하려는 노력을 더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 사람들이 그저 세상에 대한 한탄이나 비난만 한 것은 아니다. 노엄 촘스키의 언급처럼, 짧은 시간에 우리가 이룩한 정치적, 경제적 발전은 인류의 근대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가령 40~50년 전 우리 사회의 정치적 모습과 지금의 모습을 비교해 보라. 우리 사회가 독재정권의 폭압에서 신음하던 때가 그리 오래 전의 얘기가 아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우리 사회가 그렇게 절망적이지는 않다. 우리는 이 사회가 원하는 만큼 빠른 속도로 개선되지 않아 그 변화를 감지하지 못해 안달이 났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과거를 되돌아보면 우리 사회의 이중성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다. 이것은 우리 사회의 이중성 만큼이나 분명한 사실이다.

정태연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