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 영화 수십년 숨결 담긴 소품들 새 보금자리 찾았으면”

“한국 영화 수십년 숨결 담긴 소품들 새 보금자리 찾았으면”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19-10-07 18:24
업데이트 2019-10-07 18: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화 소품 산증인 김호길 서울영화장식센터 대표 인터뷰

16일 남양주종합촬영소 문 닫아···센터 이주 부지 찾지 못해
50년간 모은 소품만 40만점···창고 규모만 1600평에 달해
영화 200여편 참여···임권택 감독하고만 40편 함께 해
천만 영화 ‘실미도’, ‘광해’, ‘국제시장’ 등에 그의 손길 닿아

이미지 확대
김호길 대표
김호길 대표
지난 20여년간 한국영화의 산실 역할을 한 남양주종합촬영소가 부산 이전으로 오는 16일 문을 닫는 가운데, 반세기 한국 영화사를 간직한 소품들이 폐기 위기에 처했다. 소품 40만점을 보유한 ‘서울영화장식센터’(이하 센터)가 새 보금자리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전 계획이 확정되지 않으면 영화 수백편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소품들은 ‘공중 분해’ 되거나 버려질 수 밖에 없다.

50년 넘게 소품들을 모아 온 김호길(78) 대표는 7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남양주만한 소품 보관 장소가 없다. 마음 같아서는 여기서 계속 하고 싶지만, 이곳을 닫으면 나도 은퇴를 해야할 것 같다”며 아쉬워했다. 그는 “소품이 사라진다고 생각하면 정말 슬프다”면서 “새 부지에서 누군가는 이 일을 이어가길 바라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한국 영화 소품업계의 산증인이다. 영화감독을 꿈꾸며 충무로에 들어와 연출부와 조명부 등을 거쳐 1963년 소품계에 입문했다. 임권택 감독의 작품 ‘돌아온 왼손잡이’를 시작으로 영화 200편에 참여했다. 천만 영화 ‘실미도’, ‘광해, 왕이 된 남자’, ‘국제시장’ 등 굵직굵직한 작품에 그의 손길이 닿았다. 그는 “임 감독과는 작품 40편을 같이 했는데 너무 깐깐하셔서 일이 힘들었다”면서 “그래도 임 감독과 일하고 나면 능력을 인정받아 주가가 올랐다”고 회고했다. 지금도 장르를 불문하고 가장 많은 영화소품을 보유해 영화, 드라마, 광고, 지역 축제들에서 소품 대여 문의가 끊이지 않는다. 영화 ‘기생충’ 속 지하 공간과 TV 예능 프로그램 ‘삼시세끼’ 속 옛날식 찬장 등에도 센터의 소품이 쓰였다.
서울영화장식센터 소품 창고의 전경. 연합뉴스
서울영화장식센터 소품 창고의 전경. 연합뉴스
창고가 세 번 불타는 등 고비도 많았지만 김 대표는 영화를 좋아하는 마음 하나로 지금까지 버텨왔다. 소품을 찾으려고 버려진 이삿짐을 뒤지고, 없으면 직접 만들었다. 큰 작품에서 남는 이윤은 새로운 소품을 구하고 제작하는데 투자했다. 그는 “버리면 고물이고 쓰레기지만 영화에 쓰이면 특별한 가치를 얻는다. 그 가치를 알기 때문에 구닥다리 물건이라도 버리지 못한다”고 했다.

1600평(5290㎡) 규모의 소품 창고는 그동안 촬영소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박물관 역할을 했다. 주말이면 2000명이 넘었던 관광객들 중에는 “소품 창고가 사라지기 전 다시 한번 구경하고 싶다”는 연락을 하는 사람도 있다. 최근에는 ‘서울영화장식센터의 철거를 막아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라왔다. 그는 “남양주 촬영소와 소품 창고가 사라지면 영화의 역사를 담은 공간이 사라지는 것”이라며 “부산으로 모두 옮긴다는 게 영화 발전을 위해 꼭 좋은 일인지 아직도 아쉬움이 남는다”고 했다.
옛 정취가 흠씬 묻어나는 서울영화장식센터의 소품들. 연합뉴스
옛 정취가 흠씬 묻어나는 서울영화장식센터의 소품들. 연합뉴스
16일 이후 센터가 강제 철거가 된다고 해도 법적으로는 방법이 없다. 센터 입주 계약은 지난 6월 만료됐기 때문이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철거를 위해 센터를 상대로 명도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필요한 부지가 워낙 커 이전할 곳을 찾지 못한 상태다. 이사에만 최소 한달이 걸릴 정도로 소품 규모도 방대하고, 2억 8000만원에 달하는 이사 비용도 부담이다. 센터의 최영규 실장은 “지방자치단체 몇 군데와 상의해 봤지만 예산 문제로 진전이 되지 않았다”면서 “다른 소품 업체들과도 논의 중이지만 규모가 워낙 커 쉽지만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박물관처럼 시민들이 찾아와 하나의 문화로 즐기고, 동시에 물건도 유지할 수 있는 곳에서 센터를 이어가고 싶다”고 바람을 전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