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장세훈의 시시콜콜]美 10대 흑인의 용서

[장세훈의 시시콜콜]美 10대 흑인의 용서

장세훈 기자
입력 2019-10-05 10:00
업데이트 2019-10-05 1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례1. “판사님, 제가 그녀를 안아도 될까요?”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지방법원 증인석에 앉아있던 10대 흑인 청년 브랜트 진(18)의 말이다. 그가 안겠다는 사람은 자신의 형 보텀 진(26)을 총으로 살해한 범인이다. 지난해 9월 당시 백인 여성 경찰관인 앰버 가이거(31)는 보텀의 집을 자신의 집으로 잘못 알고 들어갔다 보텀을 침입자로 오인해 참사를 저질렀다. 미국 전역에서 ‘인종 차별’ 논란이 들끓었고, 재판부가 가이거에게 예상보다 낮은 징역 10년을 선고하면서 시민들의 반발도 있었으나 정작 브랜트는 원수에게 용서의 포옹을 제안했다. 브랜트는 “당신이 진정으로 뉘우친다면 용서하겠다고 스스로 다짐할 수 있다”고 말했고, 댈러스 지역사회는 브랜트의 행동에 찬사를 보냈다.

#사례2. “용서하되 잊지 말자.”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에 오른 넬슨 만델라의 말이다. 전 세계적으로 악명이 높았던 인종차별정책(아파르트헤이트)으로 백인들에 대한 적개심이 극에 달했던 흑인들을 설득하기 위해 내놓은 표현이다. 정작 자신은 인종차별정책에 저항하다 무려 27년 동안 감옥에서 독방에 갇혔던 원통함을 생각하면 쉽사리 꺼내들 수 있는 표현은 아니다. 다만 미국의 목사이자 노예 폐지 운동가였던 헨리 워드 비처는 “‘용서할 수는 있지만 잊을 수는 없다’는 말은 ‘용서하지 않겠다.’는 말을 다른 방식으로 표현한 것이다”고 언급했다. 진정한 용서는 망각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사례3. “내가 용서하기도 전에 어떻게 하느님이 먼저 용서할 수 있어요.”

제60회 칸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영화 ‘밀양’에서 주인공 신애역을 맡은 전도연이 절규하면서 꺼낸 말이다. 신애는 죽은 남편의 고향에서 새 삶을 시작했다가 아들 준이 유괴·살해되는 끔찍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상처와 분노를 가까스로 이겨내고 범인을 용서했다고 믿었던 신애가 범인을 만나러 교도소를 찾았다. 하지만 “하나님께 용서를 받았습니다. 마음이 편해졌습니다”는 범인의 말과 평온한 표정은 신애를 다시 오열하게 만든 것이다. 잘못을 저지른 자의 진정한 반성 없이 용서가 가능할 수 있느냐는 물음을 던진 것이다.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간주되는 용서, 참으로 어렵다. 용서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나라에 따라, 가치관에 따라, 처한 상황에 따라 용서의 방법과 내용은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처럼 달라질 수 있다.

용서가 드문 세상이라 용서가 화제가 된다. 때론 용서 그 자체를 미화해 가해자는 너무도 쉽게 용서를 구하고, 구경꾼들이 피해자에게 용서를 부추기기도 한다. 적어도 가해자와 피해자의 생각이 좁혀져야 반성이 되고, 용서도 된다. ‘용서 없는 사회’라기 보다는 ‘반성 없는 사회’가 더 맞는 게 아닐까.

장세훈 논설위원 shjang@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