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회고전의 주인공 정일성 촬영감독이 4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문화홀에서 열린 인터뷰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9.10.4 연합뉴스
“제가 영화를 시작해서 한 10년쯤 됐을 때, 미국에서 알프레드 히치콕 회고전 한다는 얘기를 외신을 통해서 들었어요. 젊은 나이에 ‘어쩜 저렇게 평생을 영화할 수 있을까’ 했는데 제가 그 나이네요.”

‘화녀’(1971)와 ‘만다라’(1981), ‘만추’(1981), ‘취화선’(2002) 등 한국 영화사에 한 획을 그은 영화들 뒤에는 모두 그가 있었다. 정일성(90) 촬영감독이다.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의 한국영화 회고전의 주인공이 된 정 감독은 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의 영화 인생을 회고했다. 정 감독은 ‘가거라 슬픔이여’(1957)로 영화계에 입문, ‘천년학’(2007)까지 50년간 현역으로 활동했다. ‘만다라’는 당시 한국영화에서 보기 힘들었던 미장센과 시퀀스로 한국영화로는 처음으로 베를린국제영화제 본선에 진출했다.

그는 반 세기 영화 인생을 지탱한 원동력으로 격변의 한국 현대사를 들었다. “일제 강점기에 태어나서 해방을 맞았고, 해방되자마자 정국이 무정부상태에 들어가 좌익과 우익이 팽배해서 대학시절엔 학교가 거의 문을 닫았어요. 자유당 독재정권에서부터 4·19, 5·16, 12·12, 민주화운동을 거쳐 지금까지 왔고요. 남북 분단은 말할 것도 없고…. 그런 과정이 영화하는 데 도움이 됐어요. 긴장 속에서 살지 않으면 안되는 시대에 영화인으로서 영화를 통해서 어떻게 사회에 기여할 것인가, 그런 정신무장 같은 것들이요.”

개인적인 원동력으로는 본인이 지켜온 세 가지 원칙, 형식과 리얼리즘, 모더니즘을 들었다. 그는 “영화의 격조는 연출 감독이 만드는 게 아니라 촬영감독이 만드는 것”이라며 “있는 그대로를 찍는 것은 기록영화나 뉴스지, 영화의 리얼리즘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에게 모더니즘이란 일종의 ‘안배’다. “한 편의 영화에 ‘퍼즈’(pause·휴지)가 있지 않으면 재미 없어요. 굉장히 스피디한 신 앞에는 느린 신이 필요하고, 재밌는 다이알로그 앞에는 재미없는 액션이 필요한 것 같은, 그런 안배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젊은 감독과의 작업을 기대하고 있다”는 정 감독은 아직도 ‘현역’이다. 그는 후배 세대에 대한 쓴 소리도 잊지 않았다. 정 감독은 “요즘은 필름이라고는 본 일이 없는 사람들이 디지털을 통해서 촬영하는데, 디지털을 하더라도 아날로그의 기술적인 과정을 이수하지 않으면 좋은 작품을 촬영할 수 없다”며 “필름을 했던 사람들은 화학적인 과정을 거쳐 감독이 생각하고 있는 이미지를 어떻게 기술적으로 형상화할 것인지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말했다.

30년 세월을 함께 한 임권택 감독과의 인연도 회고했다. 정 감독은 ‘서편제’(1993), ‘취화선’(2002) 등 임 감독 대부분의 작품에서 카메라를 잡았다. 그는 “80년도 직장암에 걸렸을 때 날 일으켜 세운 감독이 임권택”이라며 “임 감독은 나보다 6살 아래지만 동시대 사회나 역사, 미래에 대한 생각이 거의 일치해 편하게 촬영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올해 부산영화제 회고전에는 정 감독의 대표작 7편이 선정돼 소개된다. 김기영 감독의 ‘화녀’(1971), 유현목 감독의 ‘사람의 아들’(1980), 이두용 감독의 ‘최후의 증인’(1980), 임권택 감독의 ‘만다라’(1981), 김수용 감독의 ‘만추’(1981), 배창호 감독의 ‘황진이’(1986), 장현수 감독의 ‘본 투 킬’(1996)이다.

부산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