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영상]고국 잃은 아이들 “국적은 한국이지만 갈 수가 없어요”

[영상]고국 잃은 아이들 “국적은 한국이지만 갈 수가 없어요”

이하영 기자
입력 2019-09-26 17:33
업데이트 2019-09-27 14: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홍대준 군, 한국 父-베트남 母 사이에서 태어나
엄마와 함께 베트남에 잠시 왔다가 강제 귀환
베트남 비자는 만료…현지에서 출생신고도 불가
홍대준군.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홍대준군.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한국인) 아빠는 보고 싶지도, 생각나지도 않아요. 이젠 베트남에 친구도 가족도 있는 걸요.”

베트남 허우장시에 사는 한국인 아동 홍대준(12)군에게 한국에 대한 기억을 물었더니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대준군은 한국으로 결혼 이주를 갔던 베트남 엄마와 한국인 아빠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대준군 엄마는 아픈 아버지를 보려고 베트남에 잠시 들어왔다가 강제로 ‘귀환 여성’이 돼 버렸습니다. 한국으로 돌아가기로 한 날, 비행기표를 보내주기로 한 남편과 시댁이 모두 연락을 끊었기 때문입니다.
베트남에 버려진 대준군은 현지 체류 근거가 없는 ‘미등록 이주아동’입니다. 국적은 한국인이지만 관광비자와 여권은 이미 만료됐고, 현지 출생신고도 할 수 없습니다. 아버지의 동의를 받을 수도, 한국에 가 필요한 서류를 떼 올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불행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엄마는 가족을 먹여살리기 위해 도심에 나가 일하게 됐고, 대준군은 홀로 외갓집에 맡겨졌습니다.

대준군의 사연은 2014년 8월 베트남 현지 언론 보도로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이 보도로 귀환여성 자녀의 열악한 생활 실태가 베트남 사회의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당시 보도로부터 꼬박 5년이 지난 올해 8월,

서울신문은 대준군의 거취를 수소문해 찾아갔습니다.

그 사이 대준군에게는 작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학교장의 배려로 수업을 청강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살얼음판 위에 있습니다. 대준군의 체류신분은 불안정하며 모자는 여전히 불안한 신분과 경제적 빈곤 속에서 허덕이고 있었습니다.

이런 결혼 이주의 후유증은 비단 베트남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1980년대부터 한국 사회가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로 시작한 결혼 이주민의 역사는 벌써 30여 년이 쌓였습니다. 그동안 약 38만건의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 간의 성혼이 이뤄졌고, 지금도 우리 사회엔 결혼 이주여성 28만명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주여성에 대해 ‘진정성 없는 혼인자’로 손가락질합니다. 그들 중 상당수는 국내에서 숨죽이며 살아갔고, 일부는 상처만 안은 채 고향으로 떠났습니다. 그렇게 떠나간 여성들과 아이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요.

결혼이주여성이 ‘더 나은 삶’을 위해 한국행을 택하게 된 배경부터 본국으로 돌아간 후의 삶까지. 서울신문은 그 뒷이야기를 세세히 기록했습니다. 결혼 이주를 둘러싼 2019년 오늘날의 현실을 마주 보는 것으로 다문화 사회로 가는 또 한 걸음을 보태고자 합니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그들의 이야기’를 오는 30일 지면과 온라인 기사를 통해 공개합니다.

글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사진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영상편집 김형우 기자 hw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