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래유산 톡톡] 우울했던 1920년대… ‘반달 할아버지’ 동요는 한줄기 희망

[미래유산 톡톡] 우울했던 1920년대… ‘반달 할아버지’ 동요는 한줄기 희망

입력 2019-09-25 17:32
업데이트 2019-09-26 0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미선 서울도시문화지도사
김미선 서울도시문화지도사
윤극영 가옥은 서울미래유산 제1호다. 1920년대의 시대상을 반영하듯 그 당시 동요는 애상적 어조가 주류를 이뤘다. 그런 분위기를 탈피하고자 밝고 긍정적인 측면의 아동상을 반영하는 데 주력했던 윤극영 선생님의 ‘반달’은 익숙한 멜로디와 가사로 유명하다.

그러나 수채화 같은 분위기의 ‘반달’은 가평으로 시집간 후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맏누이에 대한 상실감을 표현한 작품이다. 누님의 부고를 접한 윤극영은 그때 떠오른 초승달을 보고 마음의 갈피를 잡을 수 없던 찰나 떠올렸다. 피아노로 옮겨 불렀을 때 너무나도 슬펐다고 회고록에서 밝히고 있다.

이쯤에서 우리는 우리 민족의 염원으로만 표현됐던 작품의 창작 동기를 다시 한번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우리에게 알려졌던 선생님의 동요 외에 미공개된 동요 ‘연못속’, ‘기러기’, ‘앞으로갓’, ‘담모통이’ 4곡은 만주 용정에 거주하던 1933년에 만들어진 노래들로 선생님의 연구에서 의미를 지니는 곡들이다. 암울한 시대에도 불구하고 ‘연못속’은 율동을 어떻게 가미해서 불러야 하는지가 설명된 노래로, 연못 속에서 헤엄치는 아기붕어의 모습을 의인화해 명랑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기러기’ 역시 ‘연못속’ 작품처럼 기러기의 모습을 의인화하고 있다. ‘하늘을 나는 외롭고 서러운 새’라는 표현은 기러기의 힘든 마음을 살필 수 있는 대목으로, 타향살이에 지친 자신과 조국의 상황을 담고 있다. ‘앞으로 갓’과 ‘담모통이’는 일상적이고 해학적이며 흥미를 유도하는 작품으로 대중성과 실험성을 동시에 지녔다. 선생님의 동요는 당시의 우울했던 시대의 한줄기 희망과 같은 모습으로 영원히 기억 속에 자리잡을 것이다.

근현대사 기념관은 독립, 민주화, 통일에 기여했던 많은 분들의 묘소와 생가가 자리잡은 강북구 초대길에 있다. 임시정부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올해, 동학혁명부터 3·1운동, 4·19혁명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근현대사의 역사를 조망해 놓은 근현대사 기념관은 의미가 남다르다.

김미선 서울도시문화지도사
2019-09-26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