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5년 만에 뚝딱 ‘신도시 전문국’… 사람 배제한 죽은 도시 찍어 낸다”

“5년 만에 뚝딱 ‘신도시 전문국’… 사람 배제한 죽은 도시 찍어 낸다”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9-09-23 17:34
업데이트 2019-09-24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재용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총감독

이미지 확대
국내외 90개 도시에서 도시건축 전문가 180여팀이 참가한 2019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를 이끄는 임재용 총감독은 ‘집합도시’를 비엔날레 주제로 정했다. 지금의 신도시 형태를 ‘죽은 도시’라고 규정한 그는 ‘사람과 도시의 관계성 회복’을 강조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국내외 90개 도시에서 도시건축 전문가 180여팀이 참가한 2019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를 이끄는 임재용 총감독은 ‘집합도시’를 비엔날레 주제로 정했다. 지금의 신도시 형태를 ‘죽은 도시’라고 규정한 그는 ‘사람과 도시의 관계성 회복’을 강조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우리나라를 신도시 전문 국가라고 하죠. 신도시를 ‘5년 만에 뚝딱 만들었다’ 그러는데 그건 참 무서운 얘기입니다.”

몇 가지 질문을 준비해 갔지만 막힘없이 이어지는 말 속에 모든 답이 들어 있었다. 그만큼 하고픈 말이 많았고, 또 열정이 넘쳐났다. 서울 사대문을 중심으로 진행 중인 제2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총감독을 맡은 건축가 임재용(58). 임 감독은 한 시간가량 진행된 인터뷰에서 ‘사람 중심’이라는 말을 자주 꺼냈다. 국내외 90개 도시에서 도시건축 전문가 180여팀이 참가한 이번 비엔날레를 이끄는 그를 ‘도시전’ 전시관인 서울 종로구 돈의문박물관마을에서 만났다.

격년제로 열리는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세계 인류 공통의 문제로 떠오른 도시 팽창 및 그에 따른 환경 파괴와 사회 불평 등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2017년 창설됐다. 베니스 국제건축 비엔날레 등 국제적으로 150개에 달하는 건축비엔날레가 있지만, 건축물이 아닌 ‘도시화 문제’를 다루는 ‘도시건축 비엔날레’는 서울이 유일하다. 임 감독은 “글로벌 시대인 지금은 도시 문제가 한 나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환경 파괴, 인구, 난민 문제 등 글로벌 이슈를 내놓고 얘기할 수 있는 플랫폼이 서울비엔날레”라면서 “국가별, 지역별로 당면한 문제점과 그것을 풀기 위한 해법은 비엔날레를 통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수집된다. 이를 도시정책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말했다.

임 감독은 서울로 대표되는 한국 도시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사람’이 배제된 기능 중심 정책을 꼽았다. 그는 “서울은 그나마 이제 지역의 역사성과 사람과의 관계성을 고려하는 개발 정책을 펴나가고 있지만, 신도시 건설 지역들의 문제는 굉장히 심각하다. 철저한 기능주의, 효율 중심의 도시로 만들고 있다”면서 “사람 사는 데 따로 있고, 상점 따로 있고, 공원 따로 있고 이러니까 왕복 10차선 도로 건너편에 공원이 있는 구조로 만들고 있다. 마치 거주 구역을 금으로 그어 구분하는 형태다. 그건 죽어 버린 도시가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주제전’이 열리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는 세계 각 도시의 도시건축 모델이 제시돼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들의 발길도 이어지고 있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제공
‘주제전’이 열리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는 세계 각 도시의 도시건축 모델이 제시돼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들의 발길도 이어지고 있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제공
임 감독의 이런 문제의식에서 나온 이번 비엔날레 주제가 ‘집합도시’다. 그는 ‘집합도시’를 사람이 빠져버린 도시를 사람 중심으로 회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능이 아닌 사람이 도시의 중심에 있고, 많은 사람이 공간을 함께 누리는 공동체가 임 감독이 말하는 ‘집합도시’다.

전시 주제별로 분리된 이번 비엔날레의 전시장에서도 이런 고민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전시장은 크게 ‘주제전’이 열리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도시전’이 각각 열리는 돈의문박물관마을과 중구 서울도시건축전시관, 글로벌 스튜디오와 현장 프로젝트 등이 진행되는 종로구 세운상가와 서울역사박물관이 있다. DDP는 옛 동대문운동장이,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은 옛 조선총독부 체신부 청사를 이어받아 국세청 남대문별관으로 쓰이던 자리에 지어졌다. 세운상가는 산업구조 변화로 ‘죽어 가던 건물’에서 최근 서울시의 재생사업으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임 감독은 “DDP가 개발·기능 중심의 ‘메가시티 전략’으로 옛 동대문운동장의 추억을 한 방에 날려 버린 것인데, 이곳 돈의문박물관마을은 지역의 역사와 사람의 풍습을 존중하는 ‘메타시티 전략’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곳은 원래 대단지 아파트를 지으면서 아파트 공원으로 조성될 공간이었는데, 서울시가 공원 대신에 옛날 집과 문화를 담은 박물관마을로 만들자고 하면서 탄생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람이 자신이 사는 ‘동네’라는 공간을 균등하게 누리고, 더 크게는 도시라는 공간이 그곳에서 살고 이용하는 사람과의 관계성을 회복하는 것. 임 감독이 이번 비엔날레를 통해 찾고자 하는 ‘집합도시’로 가는 길이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9-09-24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