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살 생각 이유 34.9%가 “경제 문제 탓”… 5년 새 6.4%P 증가

자살 생각 이유 34.9%가 “경제 문제 탓”… 5년 새 6.4%P 증가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9-09-22 17:56
업데이트 2019-09-22 18: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극단 선택 생각 경험은 4.3%P 준 18.5%…이 중 전문가 상담받은 사람은 4.8% 그쳐

자살사망 92% 사전 신호… 77% 인지 못해
시도자 74.5%가 “충동적·3시간 내 결정”
이미지 확대
경제적인 문제로 자살을 생각해 본 사람이 5년 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을 생각한 사람의 비중은 2013년 조사 때보다 감소했으나 ‘경제적 문제’는 6.4% 포인트 증가하며 가장 심각한 사유로 대두됐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8 자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13년에 이어 두 번째다. 국민 태도 조사와 의료기관 방문 자살 시도자 실태조사로 나뉘어 진행됐다.

●자살 허용적 태도 늘어 ‘우울·체념 확산’ 평가

전국 만 19세 이상 75세 이하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국민의 자살 태도 조사 결과 자살 생각을 해 본 적이 있는 사람은 18.5%(278명)로 2013년(22.8%)과 비교해 4.3% 포인트 감소했다. 자살 생각을 한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문제(34.9%), 가정생활 문제(26.5%), 성적·시험·진로 문제(11.2%), 직장 또는 업무 문제(7.2%), 남녀 문제(5.7%), 질병 문제(5.4%) 등을 꼽았다. 경제적 문제를 지목한 비율은 2013년 28.5%에서 34.9%로 높아졌다.

자살을 생각한 사람 중 구체적으로 자살을 계획한 사람은 23.2%였고, 이 중 실제로 시도한 사람은 36.1%였다. 하지만 전문가에게 상담받은 사람은 4.8%에 불과했다. 절반에 가까운 40.3%는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것 같아서’ 상담을 받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자살 예방에 대한 국민 인식도 다소 회의적으로 바뀌었다. ‘자살을 받아들여야 할 상황이 있을 수 있다’는 허용적 태도(2013년 2.43점→2018년 2.61점·5점 만점)가 커졌고, 자살은 예방할 수 있다는 인식(2013년 3.61점→2018년 3.46점)이 작아졌다. 우울과 체념이 한국 사회에 번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죽고 싶어 자살을 시도했을 것’이란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실제 자살 시도자에게는 삶과 죽음의 기로에서 살고 싶어 하는 양가적 감정이 있음도 확인됐다. 조사 대상 1528명 가운데 자살시도 시 ‘죽고 싶지 않다’고 생각했다는 사람이 203명으로, 전체 13.3%를 차지했다. 죽고 싶었다고 대답한 사람은 47.7%, 죽거나 살거나 상관없었다고 답한 사람은 39.0%였다. 계획 없이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한 사례가 54.5%, 고작 3시간 이내로 생각했다는 사람이 20.3%였다.

2015~2018년 4년간 유족 대상 심리부검을 통해 자살사망자 391명의 경고신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살사망자 대부분인 92.3%(361명)가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였으나 사망자 주변 인물 77.0%는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 3개월전 자살 신호… 죽기 1주 전에 집중

자살자는 자살과 죽음에 대한 말을 자주 하고 자살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꺼내거나 주변을 정리하는 등의 행동 양상을 보인다. 외모 관리에 무관심해지고 무기력, 대인기피, 흥미 상실, 공격적·충동적 행동 등의 비일상적인 행동을 보일 때도 있다.

심리부검 결과 이 같은 경고 신호는 사망 전 3개월 이내에 자주 나타났다. 특히 ‘주변을 정리함’과 같은 경고신호를 사망 직전 1주일 이내에 집중적으로 보였다.

●국민 79% “개인 동의 없이 예방기관 개입해야”

한 사람의 극단적 선택은 남은 사람의 고통으로 이어진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 121명을 분석한 결과 98명(81.0%)이 우울감을 느꼈고, 이 중 23명(19.0%)은 심각한 우울 상태를 보였다. 유족의 71.9%는 자살에 대한 부정적 편견, 주변의 충격, 자책 등으로 고인의 자살 사실을 친구나 지인, 친척에게 알리지 못했다고 답했다. 심지어 고인의 직장동료, 자녀, 부모에게 알리지 못한 유족도 있었다.

자살 사망률은 소득이 낮거나, 더 낮은 수준으로 떨어질 때 ‘높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다. 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 구간(38.2명)과 보험료 하위구간(24.4명)에서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이 높았고, 건강보험료 하위구간에서 기초생활 보장 수급자로 추락해 의료급여 구간으로 하락한 경우도 자살률이 58.3명으로 높게 나왔다.

개인정보 보호도 중요하지만 자살시도자를 보호하려면 자살예방기관이 개인 동의 없이도 개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에 일반 국민 79.1%가 동의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9-09-23 1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