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태풍 ‘링링’ 피해 복구 중 순직한 소방관...하루 1명꼴로 죽거나 다쳐

태풍 ‘링링’ 피해 복구 중 순직한 소방관...하루 1명꼴로 죽거나 다쳐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19-09-11 00:04
업데이트 2019-09-12 1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권태원 소방위
권태원 소방위
지난 9일 전북에서 태풍 ‘링링’의 피해를 복구하던 소방관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전북 부안소방서 소속 권태원 지방소방위(지방소방경으로 한계급 특진)입니다. 그는 사고 전날인 8일 오전 9시58분쯤 부안군 행안면 대초리의 한 주택 옆 저장창고에서 쓰러진 나무를 제거하다가 지붕이 붕괴하면서 추락했습니다. 이후 11시3분쯤 성모병원으로 이송된 뒤 닥터헬기로 다시 원광대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았지만 결국 9일 오후 1시44분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 뇌출혈과 지주막하출혈, 흉추골절 등이 원인이었습니다.

숨진 권 지방소방위는 1967년생으로 1992년 화재진압분야로 군산소방서에 최초 입직한 이래 27년간 소방공무원으로 일했습니다. 동료들은 현장 경험이 많은 팀장으로서 동료들을 위해 몸소 현장을 이끌던 분으로 기억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유족에게 보낸 조의문에서 “고인은 희생의 숭고한 가치를 일깨워주셨다. 누구보다 먼저 화재 현장과 구조현장으로 달려가 위험에 빠진 국민의 손을 잡아주었다”면서 “유공포상을 7번 수상할 만큼 뛰어나고 자랑스러운 소방관이었다”고 고인을 추모했습니다. 영결식은 지난 11일 열렸습니다. 고인에게는 옥조근정훈장과 1계급 특진이 추서됐으며 국가유공자 지정 등이 추진됩니다.
사진은 지난 6일 경기 안성시 양성면 석화리에 있는 종이상자 제조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모습. 이 화재로 소방관 1명이 순직하고, 다른 소방관과 공장 직원을 포함해 10명이 다쳤다. 연합뉴스
사진은 지난 6일 경기 안성시 양성면 석화리에 있는 종이상자 제조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모습. 이 화재로 소방관 1명이 순직하고, 다른 소방관과 공장 직원을 포함해 10명이 다쳤다. 연합뉴스
불과 한달 전에도 사고는 있었습니다. 경기 안성시 한 종이상자 제조공장에서 폭발로 추정되는 불이 나 화재를 진압하던 소방관 1명이 숨진 건데요. 당시 경기 안성소방서 양성지역대 소속 석원호 소방장(소방위로 한계급 특진)은 불이 난 지하 1층에 사람이 남아 있으리라고 판단해 내부로 진입하던 중 갑작스러운 폭발로 인해 화를 입었습니다. 석 소방장은 2004년 3월 소방에 입문한 15년 차 베테랑으로 화재 현장에서는 언제나 솔선수범했던 모범소방관으로 전해졌습니다. 석 소방장은 2008년 경기도지사, 2011년 소방서장으로부터 포상을 받은 적도 있습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소방활동 과정에서 순직하거나 다친 사람은 4136명이라고 합니다. 1년에 평균 410여 명, 하루 평균 1명꼴로 순직하거나 다치는 셈인데요. 오히려 순직·부상자들은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2008년에는 340명이 죽거나 다쳤고 지난해에는 이 숫자가 735명으로 늘었습니다. 10년 사이에 2배 넘는 숫자가 된 겁니다.

국민들은 소방관들의 열악한 처우에 가슴 아파합니다. 하지만 지방직인 소방공무원을 국가직으로 전환해 현재 지자체별로 차별적인 소방관 처우를 개선하는 내용의 법 개정안은 국회에서 계류 중입니다. 지난 6월 2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는 소방기본법 등 소방관 국가직화 관련 법안 11건을 의결했습니다. 관련 법안이 국회에 계류된 지 3년 만이었죠. 하지만 지금은 법안 논의가 지지부진합니다.

언제까지 국민들을 위해 기꺼이 몸을 던지는 소방관들의 희생을 봐야 하는 걸까요. 국회가 빠른 시일 내 논의를 시작하면 좋겠습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