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로의 아침] 청사초롱의 34번째 봄을 기다리며/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세종로의 아침] 청사초롱의 34번째 봄을 기다리며/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9-08-21 17:18
업데이트 2019-08-22 0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한국관광공사가 월간지 형식으로 발행하던 사보 ‘청사초롱’이 지난 3·4월 합본호를 끝으로 휴간됐다. 1987년 4월 창간호를 낸 이후 꼬박 32년 만이다. 지령으로는 500호, 계절로는 서른세 번째 봄에 걸음을 멈춘 것이다.

청사초롱은 애초 ‘관광공사’라는 이름으로 발행됐다. 당시엔 그야말로 ‘사보’였다. 그러다 2000년 1월호부터 한국 관광산업의 등불이 되겠다는 뜻을 담아 ‘청사초롱’으로 제호를 바꿨다. 내용 역시 ‘사보’를 넘어 한국 전역의 여행지를 취재해 담아냈다. 공기업이 펴낸 ‘사보’였지만 관광 현장에서의 무게감은 가볍지 않았다.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 실무조직에서 펴낸 ‘사보’였으니 더욱 그랬을 것이다.

휴간 사유는 구구절절이지만 압축하자면 ‘시대 흐름에 뒤떨어져서’다. 동영상도 아니고, ‘스마트’하지도 못하다. ‘요즘 같은 세상에’ 책에서 정보를 얻는 이도 드물 테니 굳이 돈 들여 만들 이유도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청사초롱’이 가진 가치를 지나치게 정보 전달의 측면으로만 좁혀 판단한 결과라는 생각이다.

여행은 누구에게나 로망이다. 다른 산업분야에 견줘 정서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 단순 정보 전달이 목적이라면 브로슈어 등 온갖 정보들로 빼곡한 가이드북, 혹은 모바일 앱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건조하고 단순 정보만 가득한 매체들이 모든 잠재적 여행자들에게 로망을 심어주고 여행의 모티브를 이끌어 내지는 못한다. 여행을 결정한 이후의 여러 편의에 중요하게 작용할 뿐이다.

일전에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에서 펴낸 ‘지붕 낮은 집’이란 책을 보고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다녀온 적이 있다. ‘스마트’한 것으로만 따진다면 그 책은 세상에 나올 이유가 하나도 없었다. ‘인터넷 치면 다 나오는’ 정보를 굳이 돈 들여 책 안에 담아낸 까닭은 뭘까. 추측하자면 한 인간이 지나온 삶의 여정을 좀더 찬찬히, 깊은 호흡으로 들여다보고 이를 공유하고 싶어서였을 것이다.

‘얕고 너른 지적대화’야말로 시대정신이라고 믿는 이들은 물론 동의하기 어려울 것이다. 도무지 경제적이지 못하니까. 하지만 여행 분야라면 보통의 생각과 좀 다른 구석이 있다. 좁고 깊은 소로에서 치유와 즐거움을 얻는 경우가 적지 않다.

‘청사초롱’의 몸피를 줄이고 깊이를 더해 새로 발행하는 건 어떨까 싶다. 관광공사에 여력이 없다면 한국방문위원회 등 공적 기구에서 내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아울러 돈은 좀 들겠지만 영어 등 외국어 번역본을 함께 싣는 방안도 생각해 봤으면 싶다. 현재는 그 일을 국적 항공사 기내지가 하고 있다. 설문조사를 해본 건 아니지만 유려한 문장의 국ㆍ영문 기사와 수준 높은 사진이 담긴 기내지를 통해 내한 외국인의 한국관광에 대한, 더 나아가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호의적으로 바뀌었을 것이라 확신한다. 이는 돈으로 환산되지 않고, 환산할 수도 없는 가치다.

‘청사초롱’ 이후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한 그림이 보이지 않는다. 동영상으로 제작해 유튜브에 올리는 등 시대 흐름에 맞춘 형태로 전환한다는 방향만은 분명히 정해진 듯하다. 한데 그건 함께할 일이지 하나를 없애고 남은 힘으로 해야 할 일은 아니다.

angler@seoul.co.kr
2019-08-22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