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인권 건드리고 무기 판매하고…美 ‘홍콩·대만 카드’로 中압박

인권 건드리고 무기 판매하고…美 ‘홍콩·대만 카드’로 中압박

한준규 기자
입력 2019-08-21 18:14
업데이트 2019-08-21 2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폼페이오 美국무, 홍콩과 무역협상 연계
“톈안먼처럼 진압땐 협상 타결 어려워져”
美국방부는 대만에 F16 66대 판매 승인
中 “美 경제 압력 안 통해 홍콩 문제 꺼내, 무기판매·대만 합동군사훈련 즉각 취소를”
이미지 확대
차이잉원(왼쪽 두번째) 대만 총통이 지난 15일 수도 타이베이에서 열린 대만 항공우주·국방 기술 전시회에서 미 F16 모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타이베이 EPA 연합뉴스
차이잉원(왼쪽 두번째) 대만 총통이 지난 15일 수도 타이베이에서 열린 대만 항공우주·국방 기술 전시회에서 미 F16 모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타이베이 EPA 연합뉴스
 무역전쟁으로 촉발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미중이 무역협상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홍콩 시위와 대만에 대한 미 F16 전투기 판매 등 외교안보 문제로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20일(현지시간) “미국이 홍콩 사태에 대한 대중 비판 수위를 높이고 대만에 무기를 판매하는 등 중국에 더욱 공격적 자세를 보이면서 생산적인 무역협상의 전망에는 먹구름이 드리워진 것으로 무역전문가들은 보고 있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마이크 펜스 부통령에 이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홍콩 시위의 평화적 해결을 미중 무역협상과 연계하겠다’며 사흘 연속 대중 압박에 나섰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CNBC에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것처럼 톈안먼(天安門) 광장과 같은 폭력적인 방법으로 시위가 끝난다면 무역 협상을 타결하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이어 폼페이오 장관까지 중국의 치부 중 하나인 톈안먼 사태를 거론하며 대중 압박에 나선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에 이어 펜스 부통령도 19일 톈안먼 사태와 일국양제(하나의 국가 두개의 제도) 등을 거론하며 “미국과 중국이 (무역)협상을 하려면 중국은 1984년에 한 약속(일국양제를 규정한 홍콩반환협정)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면서 “만약 홍콩에서 폭력적인 일이 벌어지면 우리가 (무역협상에서) 합의하기는 훨씬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홍콩 사태와 무역협상을 연계해 중국을 압박했다.

 이런 가운데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은 이날 대만에 80억 달러(약 9조 6000억원) 규모의 F16 전투기 66대 판매 계획을 국무부가 승인했다고 의회에 공식 통보했다. 미국은 지난달에도 대만에 22억 달러 규모의 M1A2T 전차와 스팅어 미사일 판매 계획을 승인했다. 대만은 미국의 전투기 판매 결정을 적극 환영했다. 대만 자유시보는 국방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미국은 2027년까지 F16 66대를 모두 인도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지만 대만은 인도 완료 시점을 2026년으로 1년 앞당기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와 언론은 강하게 반발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무기 판매에 참여하는 미국 기업에 대한 제재를 포함해 중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에 무기 판매와 대만과의 합동 군사훈련을 즉각 취소하라고 요구하며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결과는 미국이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는 21일 사설에서 홍콩 문제에 대한 펜스 부통령의 발언을 겨냥해 “터무니없다”면서 “미국이 경제적 압력이 통하지 않으니 홍콩 문제를 내세우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중국 외교부 홍콩 주재 사무소도 전날 성명에서 “어떤 나라도 홍콩의 번영과 안정을 흥정의 카드로 삼아서는 안 된다”면서 “중국이 영토 주권과 국가 통일을 놓고 거래할 것이라고는 꿈도 꾸지 마라”고 펜스 부통령 등의 발언을 정면 반박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9-08-22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