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의사들이 아직도 나치 해부학 도해 들여다보며 수술한다고?

의사들이 아직도 나치 해부학 도해 들여다보며 수술한다고?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8-19 16:12
업데이트 2019-08-19 16: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워싱턴 대학의 신경외과 전문의 수전 매킨넌은 수술할 때면 20세기 중반에 나온 해부학 도해서를 펼쳐든다.

인간의 몸을 낱낱이 묘사한 그림들이 너무 상세하고 컬러풀하게 표현돼 있어 수술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받고 있다. 책의 제목은 단조롭게만 들리는 페른코프의 인간 해부학 도해다. 보통 페른코프 해부학 도해로 불린다. 이제는 더 이상 인쇄되지 않아 중고 세트 여러 권이 온라인에서 몇천 파운드에 팔린다.

워낙 희귀하긴 하지만 일부 클리닉이나 도서관, 자택 서재에 꽂아 놓고 자랑하는 책이기도 하다. 런던의 대영 박물관에도 몇 권이 꽂혀 있다.

이 책은 독일 나치 정권이 살해한 시신 수백 구를 검시해 얻어낸 결과들을 모아낸 책이라고 영국 BBC가 19일 전했다. 어두운 과거로 얼룩진 책이기도 하고, 일부 과학자들은 이 책을 들춰보면서 도덕적 딜레마와 씨름하기도 한다.

매킨넌 박사는 이 책의 기원에 대해 불편하지 않다면서도 이 책을 이용하는 것은 “윤리적인 수술의 결정적인 역할을 차지한다. 이 책이 없으면 내 직업을 제대로 해낼 수도 없다”고 털어놓았다.

홀로코스트 생존자이며 건강법을 전공한 랍비 조지프 폴락은 “생생한 악을 담고 있지만 좋은 일에 많이 쓰이는 ‘도덕적 수수께끼’로 믿는다”고 밝혔다.
에두아르트 페른코프와 화가 제자들.
에두아르트 페른코프와 화가 제자들.
책의 저자 에두아르드 페른코프는 유명한 나치 당원이었으며 20년 동안 연구한 결과를 책에 담았다. 나치를 앞장서 찬양해 오스트리아 의학계에서도 상당한 지위를 누렸다. 동료들은 그를 “바지런한” 민족사회주의자로 1938년부터는 매일 나치 유니폼을 입었던 것으로 기억했다. 빈 대학 의대 학장이 된 다음 처음 한 일은 유대인 멤버들을 가려내 해고하는 일이었다. 1939년 제3제국 헌법이 통과돼 모든 처형된 죄수들의 몸을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게 되자 연구와 강의에 쓰도록 시신들을 옮겼다.

페른코프가 하루 18시간 주검들을 해체하면 화가 팀이 이미지를 그렸다. 이곳 해부학 시설이 가득 차면 처형이 미뤄질 정도로 나치와의 협력은 긴밀했다.

하버드 의대의 사비네 힐데브란트 박사는 이 책에 나오는 800점의 그림 가운데 절반은 정치범들에게서 나온 것이라면서 게이나 레즈비언, 집시, 정치적 반대자와 유대인들이었다고 말했다. 1937년 출간된 초판에는 일러스트레이터 에리히 르피에르와 카를 엔트레서의 서명이 스바스티카(나치 卍字)와 나치 친위대(SS)의 쌍둥이 번개 치는 그림과 함께 들어가 있다. 1964년 두 권 분량의 영어판이 출간됐는데 그마저 나치 문양들이 들어가 있었다가 나중에 쇄를 거듭하면서 나치 표식을 지웠다.

세계적으로 몇천 권이 팔렸으며 다섯 언어로 옮겨졌다. 1990년대에야 학생들과 학계에서 이 도해서의 주인공들이 누구인지 의문이 제기됐고 잔인한 역사가 알려진 1994년 이후 절판됐다.

왕립 외과학회는 영국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도서관 등에서는 역사적 목적 때문에 수집해 보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뉴로서저리(Nurosurgery) 설문 결과 신경외과 의사의 59%는 이 책을 알고 있으며 13%는 이 책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69%는 이 책의 역사를 알고서도 편안하게 쓰고 있다고 답했다. 15%는 거북했다고 설명한 반면 17%는 어느 한 쪽 편을 들어주지 않았다.

지난해 랍비 폴락과 의학사 연구자인 마이클 그로딘 교수는 매킨넌이 도해서를 이용하는 행위가 윤리적으로 온당한지를 판단했는데 유대 기관들도 사람을 살리기 위해 그림들을 활용하는 행위에 대해 도해서의 역사를 알고 쓰는 것이라면 괜찮다고 손을 들어줬다.

페른코프는 어떻게 됐을까? 전후 체포돼 학교에서 해고됐다. 연합군 포로수용소에 3년 감금됐는데 어떤 범죄로도 기소되지 않았다. 석방된 뒤 대학에 복직해 도해서 제작을 계속해 1952년 3판을 내놓았다. 1955년 세상을 떠났는데 4판 출판을 앞둔 시점이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