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개처럼 벌어 정승처럼 써” 조선 재벌 재테크 안내서

“개처럼 벌어 정승처럼 써” 조선 재벌 재테크 안내서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9-08-15 17:40
업데이트 2019-08-16 02: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동화식전/이재운 지음/안대회 옮김/휴머니스트/260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강력한 유교 사회였던 조선에서 안빈낙도의 삶은 도덕적 기준이었다. 사대부는 이윤을 추구할 수 없었고, 상업은 천한 신분의 사람이나 종사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모든 이들의 생각이 이와 같지는 않았다. 대표적인 이가 조선 중기의 문인 이재운(1721~1782)이다. 그는 “부를 추구하는 것은 하늘이 준 욕망이고, 생업에 기꺼이 뛰어들어 가난에서 벗어나는 것이 벼슬보다 낫다”는 주장을 과감하게 펼쳤다.

‘해동화식전’은 이재운의 이런 주장이 오롯이 담긴 ‘조선판 재테크책’이다. 당시 한문으로 펴낸 것을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가 번역해 동명의 책으로 새로 출간했다. 이재운이 주장하는 부의 미덕을 요약하면 이렇다. “부자는 나라에 세금을 많이 내니 충성됨이요, 집안 사람들을 배불리 먹이고 따뜻하게 입히니 효성과 우애의 자애로움이다. 친구들에게 돈을 빌려줄 수 있으니 의리와 신의이고, 관혼상제에 신경을 쏟으니 예절바름이다.”

책에는 조선 재벌들의 이야기가 아홉 편 실려 있다. 대부분 자수성가한 이들로 사대부부터 거지까지 신분도 천차만별이다. 국제무역과 대부업으로 거부가 된 청년, 자린고비 전설의 주인공, 충심을 다해 돈을 불려 주인에게 돌아간 노비 등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매점매석, 고리대금 등 치부 수단이 바람직하지 않을 때도 많다. 대표적인 인물이 이진욱이다. 그가 떼돈을 번 이야기 한 자락. 어느날 조선통신사의 일본 방문 소식을 들은 그는 3만냥을 들여 서북 지역의 인삼을 죄다 사들인 뒤 이 중 일부를 일본으로 빼돌렸다. 당연히 인삼 품귀현상이 빚어졌고, 조선 조정은 통신사가 가져갈 인삼을 구하지 못해 발만 동동 굴렀다. 이때 이진욱이 나서 인삼은 자신이 구할 테니 통신사 일행은 우선 일본으로 떠나라고 큰소리를 쳤다. 이후 인삼 매입에 쓸 조정의 돈이 죄다 이진욱 손에 들어간 건 당연한 수순이다.

예나 지금이나 부자들이 돈 버는 방법은 똑같다고 힐난할 수 있겠다. 하지만 예와 지금이 꽤 다른 것도 있다. 그들은 돈을 벌기 위해 신용를 지켰고, 돈을 번 뒤엔 나눔을 실천했다. 바꿔 말해 돈은 개처럼 벌었으되 정승처럼 썼다는 얘기다. 실제 이진욱은 이후 직급이 정2품 지중추부사까지 올랐다고 한다. 얼추 정승만큼 오른 셈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9-08-16 3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