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육아 아빠/전경하 논설위원

[씨줄날줄] 육아 아빠/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9-07-29 22:02
업데이트 2019-07-30 0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상반기 민간 부문의 육아휴직자 5명 중 1명은 아빠라는 고용노동부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체 육아휴직자 5만 3494명 가운데 1만 1080명(20.7%)이 남성이다. 교사와 공무원 등 공공 부문의 육아휴직자는 포함되지 않은 숫자니 실제 육아휴직자는 이보다 더 많을 것이다. 육아휴직자에게 월 20만원을 주는 제도가 도입된 2001년에 남성 2명 등 전체 육아휴직자가 25명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이다. 대기업의 복지로 여겨져 왔던 남성의 육아휴직이 중소기업에도 정착되면서 중소기업이 43.3%를 차지한 점도 반갑다.

육아휴직이 늘어난 데는 돈의 힘이 컸다. 2014년 10월 도입된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는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하면 정부가 두 번째 휴직자에게 첫 3개월 동안 매월 최대 250만원을 주는 제도다. 도입 당시 150만원이었는데 5년여 만에 100만원이 늘었다. 육아휴직 첫 3개월을 뺀 9개월 동안의 월급도 지난해 월 50만~100만원에서 올해부터 70만~120만원으로 올랐다.

롯데그룹은 대기업으로는 처음으로 2017년부터 모든 계열사에서 최소 한 달 이상 남성 직원이 육아휴직을 의무 사용하도록 해 육아휴직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꾸는 데 기여했다. 롯데는 남녀 모두 육아휴직 첫달에는 통상임금 100% 지급으로 정부 지원금과의 차액을 보전해 주고 있다. 그 덕분에 지금까지 롯데의 남성 육아휴직자는 3700여명이다.

육아휴직자가 직장에 복귀했을 때 들은 말 중 가장 억울한 말은 “잘 쉬었냐”일 거다. 육아는 일의 시작과 끝은 물론 업무 범위도 정해져 있지 않은 무한 노동의 세계다. 아이의 행동은 예측불허일 경우가 많고 기저귀 갈기, 목욕 등의 일과가 반복된다. 해서 아이와 집에서 씨름하다 보면 말귀 알아듣는 어른들과 생활하는 직장이 편하다고 생각할 때가 생긴다.

아빠가 육아휴직을 한 경우 말 그대로 아이만 지켜보는 경우도 있다. 아이를 키우려면 빨래, 청소, 음식 장만 등 다른 가사노동이 뒤따라야 하지만 아이를 보는 즐거움에 취해서인지, 다른 가사노동을 할 줄 몰라서인지 아이만 하루 종일 뒤따라다니곤 한다. 이 경우 가사노동은 직장에서 돌아온 엄마 몫이 되지만 이마저도 고마운게 엄마 심정이다. 남편이 육아휴직했다고 아내가 가사노동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이 아니듯이 아내가 육아를 전담해도 남편이 가사노동을 해야 하는데 한국 사회는 아직은 그렇지 못하다.

앞으로 육아휴직 끝내고 복귀하는 직장 동료에게 “그동안 힘들었지”라고 첫 인사를 건네 보자. 아이와 뒹굴어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는 가정만큼 직장도 좋은 곳으로 여겨지게 될 거다.

lark3@seoul.co.kr
2019-07-30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