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주 무령왕릉 주변에 고분 47기 더 있을 가능성

공주 무령왕릉 주변에 고분 47기 더 있을 가능성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7-17 11:58
업데이트 2019-07-17 1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표면 41기, 지하 6기 흔적 찾아...“주인 명확하면 가치 높아”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현황. 새롭게 확인된 추정 고분은 41기이다.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현황. 새롭게 확인된 추정 고분은 41기이다.
백제 무령왕릉이 있는 공주 송산리고분군(사적 제13호) 근처에 고분 47기가 더 있을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백제 웅진도읍기(475∼538년) 왕실 묘역인 송산리고분군에서 지표조사와 지하 물리탐사를 통해 야산에 41기, 지하에 6기의 고분이 더 있을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소는 지난 2~3월 실내조사를 하고, 4월 지표조사를 진행해 야산에 41기의 고분 존재 가능성을 추가로 확인했다. 신라, 가야와 달리 백제는 지하에 매장시설을 두고 봉분을 크지 않게 조성한다. 지표면에서 고분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았지만, 연구소는 “고분의 흔적, 입지특성, 지형분석 등을 통해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1~4호분 정비구간에서 확인된 일제강점기 조사 고분의 지하 흔적
1~4호분 정비구간에서 확인된 일제강점기 조사 고분의 지하 흔적
또 6월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과 함께 무령왕릉 정비구간 지하물리탐사를 진행했다. 이에 따라 일제강점기 이후 위치를 알 수 없었던 7~9호와 29호분의 흔적도 파악해 6기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했다. 일제강점기 당시 고분 위치를 표시한 사진 자료와 현재 촬영한 사진자료를 비교?검토해 고분의 현재 위치를 추정했다.

조사과정에서 지표면에서 수습된 ‘중방(中方)’ 이라고 적힌 벽돌도 찾았다. 벽돌은 사용한 위치 등 쓰임새를 의미하는 사례가 많다. 특히 발견한 벽돌은 무령왕릉의 긴 벽면에서 창문모양을 장식한 8점과 유사하다. 벽돌 발견 위치가 무령왕릉 남쪽 80m 지점인 점, 일제강점기에 보고된 벽돌무덤인 17호분의 추정 위치와 70m 이상 떨어져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벽돌이 발견된 일대에 또 다른 벽돌무덤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무령왕릉 서벽 창문모양 장식에 사용된 ‘중방(中方)’명 벽돌(좌)과 이번 조사에서 수습한 ‘중방’명 벽돌(우).
무령왕릉 서벽 창문모양 장식에 사용된 ‘중방(中方)’명 벽돌(좌)과 이번 조사에서 수습한
‘중방’명 벽돌(우).
송산리에 백제 왕릉이 있다는 사실은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에 기록됐다. 발굴조사는 1927~1933년 가루베 지온과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처음 시행했다. 당시 29기를 발견했다고 보고했지만, 8기에 관한 발굴기록만 현재까지 남아 있고 이 가운데 6기를 확인했다. 현재 31만㎡ 규모의 송산리고분군에서 정비된 고분은 1971년 발굴한 무령왕릉을 포함해 모두 7기에 불과하다. 이번에 47기의 흔적을 발견하면서 이 일대 고분이 최대 54기까지 늘어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무덤의 주인이 명확히 드러날 경우 그 가치는 아주 커진다. 무려왕릉은 삼국 시대 무덤 중 주인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왕릉이어서 가치가 높다. 이성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은 “송산리고분군은 당시 백제 왕가의 무덤군으로 여겨진다. 부여로 천도한 성왕을 제외한 무령왕,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덤일 확률이 있다”면서 “무덤의 주인이 명확히 밝혀지면 사료로서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소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고분 조사에 나선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