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늘어나는 은행 수시채용…은행 공채 없어질까

늘어나는 은행 수시채용…은행 공채 없어질까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07-05 22:35
업데이트 2019-07-06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기관 채용설명회
금융기관 채용설명회 지난해 시중은행 등 59개 금융기관이 참가한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KEB하나은행이 올해 여름 ‘채용 전환형 인턴’을 뽑기로 했다. 기존 공채와 달리 수시채용 방식이다. 6~8주 동안 인턴 과정을 거쳐 평가를 한 뒤 채용 여부를 결정한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수시 채용 비중을 최대한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면서 “몇년 뒤 공채가 없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시중은행들이 디지털 뱅킹 시대를 맞아 채용 제도도 바꾸는 추세다. 정기 공채만으로는 정보기술(IT) 인력 확보가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수시 채용이나 IT 채용 규모도 부쩍 늘이고 코딩 등 시험 내용도 차별화하고 있다. 그렇다면 시중은행의 정기 공채는 없어질까.

인터넷뱅킹 맞춰 IT 인력 찾는 은행들

시중은행들이 IT 인력 채용 비중을 높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지난해 KB국민은행은 대졸 공채(415명)의 31%인 130명을 정보통신기술(ICT) 인재로 뽑았다. 2017년에는 IT 인력으로 두자리수를 뽑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월말 기준 국민은행의 IT·디지털 그룹은 전체 직원 1만 7518명 중 5% 정도인 800여명에 그친다. 경력직을 뽑고 내부 인력을 교육해 전체 인력의 25% 수준인 4000명까지 디지털 인력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우리은행도 2017년 하반기부터 신입공채에 IT 인력을 별도로 뽑고 있다.

기존 은행원과 디지털 인력 채용 방식과 인사 담당자를 나누기도 한다. 인력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원하는 인재를 뽑을 수 있어서다. 신한은행도 올해부터 디지털과 정보통신기술(ICT) 인력은 수시 채용으로 바꿨다. ‘디지털 신한인 채용 위크’를 두달 마다 한번씩 열고 전형을 진행할 계획이다. 지난 5월에 이어 이번달에도 디지털 신한인 채용위크를 연다. 1차 역량평가에서는 코딩 등 테스트도 거친다.

‘공채 은행원’이냐 수시채용이냐

그러나 대부분 시중은행들은 공채 폐지나 수시채용에 회의적인 분위기다. 신한은행도 일반 행원은 수시 채용이 아닌 공채로 뽑고 있다. 공채 중심의 돈독한 기수 문화가 안정적인 조직 운영이나 교류에 도움이 된다고 보는 시선이 많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졸업 시즌에 맞춰 대부분 구직에 나서기 때문에 공채가 인력을 구하기도 더 용이하다”면서 “수시 채용을 하면 인사조직에 부담도 적지 않고 세대 교체를 위해서 일반 행원 채용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은행원은 돈을 다루기 때문에 업무상 직접 책임을 지는 일이 적지 않아 입사 후 3달 가까이 교육을 받은 뒤에 실무에 투입되는데 채용 전환형 인턴십에서 어떤 업무를 하고 어떻게 평가할지도 의아하다”고 봤다.

하나은행의 행보를 두고 업계에서는 해석이 난무하다. 금융당국이 은행들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측정하겠다고 나선 때에 수시 채용은 다른 은행과 비교가 어렵다는 점이 장점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공채는 다른 은행과 채용 시기가 겹치고 전형이 단순한 편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채용 규모를 일년에 한두번에 걸쳐 확정하지만 수시 채용은 상대적으로 채용 규모를 조정하기 쉽다. 앞서 은행권 채용 비리 의혹으로 은행 공채가 블라인드 채용과 필기 시험 위주로 전환돼 은행권에서는 입맛에 맞는 사람을 뽑기 어려워졌다는 불만도 적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하나은행 관계자는 “채용 방식을 바꾸는 것일 뿐 총 채용인원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시대의 흐름에 맞춰 디지털과 글로벌 인력을 뽑기 위해 수시 채용이 적합한 부분이 있다”고 선을 그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