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삼척항 온 北주민, 탈북친척 전화 시도…‘노크귀순’ 판박이

삼척항 온 北주민, 탈북친척 전화 시도…‘노크귀순’ 판박이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9-06-19 09:58
업데이트 2019-06-19 1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5일 북한 선원 4명이 탄 어선이 연안에서 조업 중인 어민의 신고로 발견됐다는 정부 당국의 발표와 달리 삼척항에 정박했다고 KBS가 18일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 어선이 삼척항 내에 정박한 뒤 우리 주민과 대화하는 모습. 2019.6.18 KBS 제공
지난 15일 북한 선원 4명이 탄 어선이 연안에서 조업 중인 어민의 신고로 발견됐다는 정부 당국의 발표와 달리 삼척항에 정박했다고 KBS가 18일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 어선이 삼척항 내에 정박한 뒤 우리 주민과 대화하는 모습. 2019.6.18 KBS 제공
지난 15일 삼척항으로 들어온 북한 어선은 기관 고장이 아닌 귀순 목적으로 탈북했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부두에 내린 북한 주민은 심지어 탈북한 친척에게 연락을 시도하기 위해 인근 주민에게 휴대전화를 빌리려 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이번 사건이 2012년 북한군이 소초 창문을 두드려 귀순했던 ‘노크 귀순’과 흡사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9일 관계 당국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북한 어선은 지난 15일 야간에 삼척항 인근 먼바다에서 엔진을 끄고 날이 새길 기다린 것으로 알려졌다. 야간에 해안에 진입해 군의 대응사격을 받을 것을 염려한 것으로 보여진다.

어선은 날이 밝자 해안쪽으로 이동했고 삼척항 외항 방파제를 지나 부두까지 와서 접안했다. 이후 인근에 있던 주민이 이들과 대화하다 “북한 말투를 쓰는 수상한 사람이 있다”는 내용의 112 신고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관계기관에 공식적으로 포착된 시간은 오전 6시 50분쯤이다.

당초 기관고장으로 표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삼척항까지 직접 배를 몰고 진입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번 사건은 2012년 북한군이 육군 22사단 소초 창문을 두드려 귀순했던 ‘노크귀순’과 판박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당시 북한군 귀순자는 야간에 우리 측 최전방 철책 3개를 통과한 뒤 우리 군 소초 앞까지 온 다음 직접 문을 두드려 ‘경계 실패’라는 비판이 일었다.

북한 어선이 야간에 먼바다에서 엔진을 끄고 대기하자 레이더 감시요원들은 이를 파도로 인한 반사파로 인식했다. 어선 발견 당시 동해상의 파고는 1.5∼2m였고, 북한 어선은 높이 1.3m, 폭 2.5m, 길이 10m였다.

4명의 북한 어민 중 귀순자 2명은 관계당국 합동심문에서 탈북을 목적으로 삼척항으로 왔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계 당국 소식통은 연합뉴스에 “북한으로 돌아간 2명은 얼떨결에 따라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어선에 타고 있던 일부 주민이 북한군 특수부대에서 지급되는 얼룩무늬 하의 군복을 입고 있었지만 “특별한 용의점은 식별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어선에 탄 4명의 북한 주민들은 삼척항 부두에 배를 대고 배와 부두를 밧줄로 연결해 정박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 2명이 부두로 내렸다. 삼척항의 어민들은 이 선박을 향해 “어디서 왔느냐”고 묻자 “북한에서 왔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부두에 내린 2명 중 1명은 인근에 있던 주민에게 북한 말씨로 “북에서 왔으니 휴대전화를 빌려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탈북해 남한에 정착한 친척에게 연락을 시도하려고 휴대전화를 빌리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두에서 북한 선박을 목격한 한 민간인이 112에 신고를 했지만 해경은 최초 선박 발견지점을 ‘삼척항 방파제’라고 군 당국에 전파해 논란이 일고 있다. 부두에 정박한 상태였는 데도 군에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은 셈이다. 군 요원들이 삼척항에 도착했을 때 북한 어선은 이미 해경의 예인으로 삼척항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