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로의 아침] 자녀 일자리가 더 절실하지 않을까/최광숙 정책뉴스부 선임기자

[세종로의 아침] 자녀 일자리가 더 절실하지 않을까/최광숙 정책뉴스부 선임기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9-06-05 17:40
업데이트 2019-06-06 0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광숙 정책뉴스부 선임기자
최광숙 정책뉴스부 선임기자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고령인구로 본격 진입하면서 정년 연장은 노동시장을 뒤흔들 ‘핵폭탄’이 될 수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최근 “노동시장에서 빠져나가는 사람이 연간 80만명, 진입하는 사람이 40만명”이라며 정년 연장 논의에 물꼬를 텄다. 생산가능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년층을 더 일터에 머무르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청년들의 일자리 쟁탈전이 어느 나라보다 치열한 우리나라에서 정년 연장은 청년들에게 마른 하늘의 날벼락이 될 수 있다. 역대 최악의 청년 취업이 더 어려워질 게 불 보듯 뻔해서다. 이미 곳곳에서 아버지와 자녀 세대가 정해진 파이를 놓고 싸우는 세대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고령화 시대에 베이비붐 세대들은 자녀 교육비와 국민연금 개시 시기 등을 감안하면 은퇴 후 생활이 막막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청년들 눈에는 ‘복 받은 세대’로 보인다. 산업화 시대 성장의 과실을 따먹은 세대가 바로 그들이었다. 힘들게 살았어도 그들은 열심히 일하면 결혼도 하고 자식 낳아 공부시키며 집 한 칸이라도 마련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자식 세대인 청년들은 처음으로 부모보다 못사는 첫 세대다. 아무리 노력해도 물거품이 되는 현실에서 청년들은 주거·취업·결혼·출산 등을 포기하는 ‘N포 세대’로 전락했다.

그런 청년들에게 장년층의 정년 연장은 일방적 희생을 요구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일본도 ‘단카이 세대’(1947~1949년생)가 60세 정년을 맞은 2007년 63세로 고용 연장이 의무화된 이후 청년 취업난과 비정규직 급증 등으로 청년층을 희생시켰다는 책임론이 나왔다. 하지만 청년보다 노인 표가 더 많은 현실에서 정책은 노인 편으로 기울기 마련이다. 우리나라도 이번에 정년 연장이 실현된다면 본격적으로 ‘실버 민주주의’ 시대로 접어들었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

한창 일할 나이의 젊은이들이 한 평생 한 번도 직장을 가져 보지 못한다면 그것은 단순히 그들의 경제력 상실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젊은이들이 직장 생활을 하면서 가정에서 배우지 못한 신성한 노동의 가치와 보람을 일깨우면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으며 보다 성숙하고 건강한 시민으로 거듭날 것이다. 물론 아르바이트 현장 등 다른 곳에서도 청년들은 훌륭한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지만 기성세대는 많은 젊은이들이 반듯한 직장에서 일하며 부모로부터 독립된 한 인간으로 바로 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책무가 있다.

사실 베이비붐 세대는 부모를 봉양하고 자식을 부양하면서도 자신들의 노후를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고달픈 처지다. 그렇지만 그들에게 자신들의 정년 연장과 자녀의 취업 중 어느 것이 절실할까. 자녀가 취업을 하지 못해 고민하는 장년층이라면 본인의 정년 연장보다 자녀의 일자리를 원하는 이들이 훨씬 많을 것 같다.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주지 못하면서도 훗날 아버지 세대가 수령할 연금 부담까지 떠안기는 것은 너무 가혹한 일이다.

bori@seoul.co.kr
2019-06-06 2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