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치 1번지’ 종로 벌써 총선 열기… 황교안·이낙연·임종석 등 출마설

‘정치 1번지’ 종로 벌써 총선 열기… 황교안·이낙연·임종석 등 출마설

이근홍, 이제훈 기자
입력 2019-06-06 00:42
업데이트 2019-06-06 0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치 포커스] ‘대선 전초전’ 종로 달구는 잠룡들

‘정치 1번지’ 서울 종로를 놓고 벌써부터 총선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야권에서는 유력한 차기 대선주자인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의 종로 출마설이, 여권에서는 현재 종로 지역구 의원인 정세균 전 국회의장을 비롯해 이낙연 국무총리,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의 출마설이 돌면서 내년 4월 총선 종로 선거가 대선 전초전이 될 수 있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선거 경험 없는 황교안 ‘대선 모의고사’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야권 대선주자 중 선두를 질주하고 있는 황 대표에게는 종로 출마가 ‘대선 모의고사’처럼 여겨지는 분위기다. 한 번도 자신의 선거를 치른 적이 없는 황 대표가 대선후보가 되려면 정치 1번지에서 경쟁력을 검증받아야 한다는 논리다. 한국당 여의도연구원장인 김세연 의원은 5일 라디오에서 ‘황 대표가 다음 총선에서 어떻게 해야 된다고 보냐’는 질문에 “종로로 출마하는 것이 가장 정공법”이라며 “황 대표가 (총선을) 진두지휘하기 위해서는 그 정도의 결단이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황 대표는 그동안 종로 출마설에 대해 “당이 필요하다면 아무리 무거운 십자가라도 지는 것이 맞다”, “당의 과반 승리를 위해 무엇이든 할 각오지만 특정 지역이나 비례대표 출마 등을 언급할 때는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종로에서 승리한다면 경쟁력을 만천하에 과시하면서 가장 유력한 야권 대권주자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지만, 패배 시엔 정반대로 치명타를 입을 수 있는 만큼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저울질을 하는 모습이다.

패배 시 리스크를 감안해 황 대표가 당선이 안전한 비례대표를 선택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대선주자로서의 ‘용기’가 부족하다는, 즉 패배를 두려워해 리스크를 감수하지 않으려 한다는 지적을 받을 소지가 있다.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은 “(황 대표의 출마 의지는) 당에서 원하면 비례대표로 갈 수 있다는 것도 함의하고 있다”며 “황 대표는 지난 보궐선거 때 창원 성산에 안 나가고 지원하다가 결국 패배했는데 만약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해서 낙선할 경우에는 대통령 후보가 되기 힘들다”고 했다.

●이낙연·임종석 거론… 정세균 재출마 의사

여권에서는 정 전 의장이 현역의원으로서 버티고 있는 가운데 이 총리와 임 전 실장이 도전자로 거론되고 있다. 임 전 실장은 지난 3월 거주지를 종로로 옮기면서 일찌감치 출마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여권 내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1위인 이 총리도 경쟁력을 검증받기 위해 종로 출마를 선택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반면 국회의장을 지낸 뒤에는 차기 총선에 불출마하면서 정계은퇴를 하는 게 관례이지만, 정 전 의장도 재출마 의사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야권에서 황 대표 등 거물급이 출마할 경우 오랫동안 탄탄하게 지역구를 관리해 온 자신만이 경쟁력이 있다는 논리를 댄다. 민주당 내에서는 임 전 실장이 2016년 총선 때 서울 은평을에 출마했다가 당내 경선에서 떨어진 전례 등을 들어 경쟁력이 없다는 시각과 그때와 지금은 체급이 달라졌다는 시각이 엇갈린다. 정치권 관계자는 “민주당의 종로 공천은 결국 야당 후보로 누가 나오느냐에 달려 있다”면서 “민주당 입장에선 종로를 야당의 유력한 대선주자인 황 대표에게 내줄 수는 없는 만큼 가장 득표력이 높은 후보를 낙점할 것”이라고 했다.

이근홍 기자 lkh2011@seoul.co.kr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9-06-06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