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리’의 원조격… 여간첩 다룬 첫 영화

남한 특무장교와의 묵직한 멜로스릴러
전쟁 중에도 식지 않았던 영화인의 열정
전후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작품 ‘운명의 손’(1954) 촬영 장면. 왼쪽 카메라 뒤가 한형모 감독, 오른쪽이 배우 윤인자.  한국영상자료원 제공
‘운명의 손’(1954)은 여러 의미에서 전후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한형모 감독을 위시로 전쟁 중에도 영화 작업을 멈추지 않았던 영화인들의 역량을 보여 주면서, 휴전과 분단이 결정된 지 불과 1년도 지나지 않은 시기, 여간첩이라는 흥미로운 소재를 통해 반공 이데올로기를 전면에 내세운 영화다. 기록화면 질감으로 미군들의 모습을 보여 주는 장면에서도 이 영화가 전후의 상황을 직접적인 배경으로 삼고 있음을 말해 준다. 특히 이 영화에서 주목할 부분은 한형모 감독의 연출력이다. 마가렛(윤인자)과 영철(이향) 단 2명의 주연배우 위주로 이야기를 구성해 경제적인 제작 규모를 꾸렸고, 알프레드 히치콕의 ‘오명’(1946)을 참조한 미장센(화면 구성)으로 두 주인공에게 집중한 세련된 스릴러를 완성시켰다. 영화는 1954년 6월에 촬영에 착수, 10월부터 후반 작업에 들어갔고 1955년 1월 6일 수도극장에서 개봉했다. “한국영화 사상 획기적 야심작”(동아일보 1954년 12월 19일자)으로 평가받았지만, 같은 날 국도극장에서 개봉한 이규환 감독의 ‘춘향전’으로 관객이 몰리는 바람에 흥행 성적은 좋지 않았다.
‘운명의 손’은 한국영화 최초의 키스신이 등장한 영화로 기록된다. 이 영화로 데뷔한 배우 윤인자는 이 장면으로 당시 큰 화제를 모았다.<br>한국영상자료원 제공
‘운명의 손’에서 마가렛과 정애라는 두 이름의 스파이를 연기한 배우 윤인자(왼쪽)와 한형모 감독.<br>한국영상자료원 제공
이 영화는 남북분단이라는 묵직한 주제, 얼굴을 노출하지 않는 간첩단 두목(주선태)으로 표현되는 스릴러 장르의 분위기, 서로의 신분을 알지 못하는 북한의 스파이 여성과 남한의 특무장교 남성이 빚어내는 멜로드라마를 기반으로 이야기를 펼친다. ‘운명의 손’은 두 가지 점에서 한국영화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는 영화이기도 하다. 첫째 여간첩을 다룬 첫 번째 영화로, 배우 윤인자는 마가렛과 정애라는 두 가지 이름의 스파이를 연기한다. 바로 ‘쉬리’(강제규·1999)의 원조 격인 셈이다. 둘째 한국영화 최초의 키스신이 등장한 영화로 기록된다. 이 영화로 데뷔한 윤인자의 키스 연기는 당시 큰 화제가 됐다.

영화를 연출한 한형모는 일제강점기와 해방기를 거쳐 1950년대 한국영화계를 대표하는 감독으로 성장했다. 만주의 신경미술전문학교에서 공부한 그는 ‘집없는 천사’(1941)의 미술부로 처음 영화 작업에 참여했다. 이후 일본 도호 영화에 입사해 촬영을 배운 후, 일본에서 실시한 기능시험에 합격해 정식 촬영기사가 됐고, 일제 말기부터 해방기까지 주로 최인규 감독의 영화에서 촬영기사로 활동했다. 감독 데뷔는 여순사건을 배경으로 한 ‘성벽을 뚫고’(1949)에서다. 그는 1950년 5월 다시 연출에 도전한 해군홍보영화 ‘사나이의 길’을 촬영하다 전쟁 발발로 멈춘 후, 국방부 정훈국 촬영대 소속으로 ‘정의의 진격’ 1, 2부를 완성했다. 전후 ‘운명의 손’까지 이르는 그의 작품 행보가 극영화와 기록영화를 막론하고 강박적으로 반공과 결부돼 있음은 주목해 볼 지점일 것이다. 이후 그는 대학교수와 교수 부인 각각의 연애를 다뤄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자유부인’(1956)의 흥행 성공을 위시로 철저하게 흥행성을 의식하면서도 여러 장르를 넘나드는 과감함을 선보이며 상업영화의 귀재로 평가받았다. 그는 1950년대 한국 대중영화의 격조를 높인 감독으로 평가된다.

정종화 한국영상자료원 선임연구원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