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여정 신상이상설? 박지원 “조용히 지내는 것”

김여정 신상이상설? 박지원 “조용히 지내는 것”

강주리 기자
입력 2019-06-03 11:21
업데이트 2019-06-03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여정은 백두혈통, 아무 문제 없어”
이미지 확대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 연합뉴스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
연합뉴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3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북한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이 최근 모습을 보이지 않는 데 대해 “과로를 했다는 얘기도 있지만 (북한 내) ‘분위기가 나쁜데 조용히 좀 지내는 것이 좋지 않으냐’ (해서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라는) 그런 얘기를 듣고 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제가 알고 있기로는 그렇게 성공한 것도 아닌데 모습을 드러내기도 그렇고, 약간 피로해서 전면에 나서지 않고 있는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김 부부장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하나밖에 없는 여동생이자 백두혈통인 만큼 아무 문제가 없다고 저는 그렇게 알고 있다”고 부연했다.

박 의원은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김혁철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 등의 숙청설에 대해서는 “한국과 미국의 정보당국이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라고 했기 때문에 저는 한미 정부의 발표를 믿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김영철 부위원장이 노역형에 처해졌고, 김혁철 특별대표와 김성혜 통일전선부 실장 등이 처형을 당하고 특히 김여정 부부장에게 신상 문제가 있다고 하면 이것은 아주 큰 변화”라면서 “한미 정보당국이 놓칠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도움을 받아 평양공동선언 합의문에 서명하고 있다. 2018.9.19  평양사진공동취재단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도움을 받아 평양공동선언 합의문에 서명하고 있다. 2018.9.19
평양사진공동취재단
실제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가 지난 2일 제2기 제7차 군인가족예술소조경연에서 당선된 군부대들의 군인가족예술조조경연을 관람했다고 전하면서 그동안 숙청설이 나오던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김 위원장의 왼편에서 다섯 번째에 앉아 관람하는 모습을 보도했다.

김 국무위원장의 정치적 행보에 동행함으로서 건재함을 드러낸 것이다.

지난달 31일 조선일보는 “북한이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의 실무 협상을 맡았던 김혁철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와 외무성 실무자들을 협상 결렬 책임을 물어 처형한 것으로 30일 알려졌다”면서 “대미 협상을 총괄했던 김영철 노동당 통일전선부장도 혁명화 조치(강제 노역 및 사상 교육)를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또 대북소식통을 인용해 김영철 부위원장이 “(통일전선부장에서) 해임 후 자강도에서 강제노역 중”이라고 기사화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조선중앙통신이 사실상 오보라고 공식 확인을 해준 셈이 됐다.

김여정 제1부부장에 대해서 조선일보는 외교소식통 등 정부 관계자를 인용하며 “김정은이 근신시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 “하노이 회담에서 재떨이를 들고 김정은의 시중을 드는 모습이 일본 언론에 노출되면서 북 내부에서 부적절한 처신이었다는 말이 많았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또 김 제1부부장이 “출산 후에 잇단 정상회담으로 무리를 했다. 결핵에 걸렸다는 얘기도 있다”며 대북소식통을 통해 전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북미정상회담] 공동합의문 교환하는 김여정-폼페이오
[북미정상회담] 공동합의문 교환하는 김여정-폼페이오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12일 오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북한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미국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공동합의문을 교환하고 있다. 2018.6.12 [싱가포르 통신정보부 제공=연합뉴스] 연합뉴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