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돼지열병 확산 방지, 남북 협력 이뤄져야

[사설] 돼지열병 확산 방지, 남북 협력 이뤄져야

입력 2019-06-03 00:38
업데이트 2019-06-03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프리카와 유럽, 아시아 일부에서 발생해 온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북한에서 확인됐다. ASF가 한반도에서 확인된 것은 처음으로 양돈 농가와 방역 당국에 초비상이 걸렸다. ASF는 고병원성의 경우 치사율이 100%에 이를 만큼 무서운 전염병이다. 치료 가능한 약이 없고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급속도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ASF를 제1종 법정가축전염병으로 지정하고 지난해 2월부터 관리해 왔다.

ASF는 몇 년 사이 아시아에서 빠르게 확산 중이다. 지난해 중국 112건, 몽골 11건, 베트남 211건, 캄보디아 1건 등 아시아에서만 335건이 발생했다. 중국에서는 ASF에 감염됐거나 감염 우려가 높은 돼지 1억 3000만 마리를 단계별로 살처분한다고 한다. 중국 돼지 농가 사육분의 30%에 달한다. 중국까지 유입된 ASF는 북중 접경 지역인 자강도 우시군 북상협동농장까지 번졌다. 이 농장에서 기르던 돼지 99마리 일부가 ASF 확진 판정을 받고 전량 폐사하거나 살처분됐다고 한다.

정부는 남북 접경 지역 10개 시군에 대해 그제 긴급 방역을 실시한 데 이어 오는 7일까지 접경 지역 353개 모든 양돈 농가를 방문해 농가당 돼지 8마리의 혈액을 채취하고 ASF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국내 방역은 기본이지만 자강도의 발병이 북한에서 확산되거나 남한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는 일도 시급하다. 남북 접경지대의 북한 야생 멧돼지가 남쪽으로 넘어올 가능성은 경계 시스템으로 인해 희박하다고는 하지만 주의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정부는 지난달 31일 개성 남북연락사무소를 통해 ASF 확산 방지를 위한 남북 협력 의사를 전달했다. 북한은 검토한 뒤에 입장을 알려 주겠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하는데, 전염병 방역에는 시간이 생명이다. 남북의 양돈 체계가 함께 붕괴되는 일이 없도록 북한은 ASF 확산 방지에 조속히 협력하기를 바란다.

2019-06-03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