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어려운 집 ‘장남’ 같은 마음/백민경 산업부 차장

[데스크 시각] 어려운 집 ‘장남’ 같은 마음/백민경 산업부 차장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9-05-30 17:18
업데이트 2019-05-31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백민경 산업부 차장
백민경 산업부 차장
SK이노베이션 자회사인 SK인천석유화학의 노동조합 조합원 조끼에는 ‘화합·단결’이 새겨져 있다. 2년 전엔 ‘단결·투쟁’이 적혀 있었다. 회사와 노조가 ‘단결’해서 ‘투쟁’하지 말고, ‘화합’해서 ‘하나가 되자’는 의미를 담아 새로 새겨 넣은 것이다.

지난 27일 서울 광화문의 한 호텔에서 열린 SK이노베이션의 성장 전략 발표에서 최남규 SK인천석유화학 사장과 최근 재계 노사 문제를 얘기하다 나온 말이다. 최 사장은 “우리 노조는 ‘어려운 집 장남’ 같은 심정으로 회사를 바라보는 것 같다”고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SK인천석유화학은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 숱한 시련을 겪었다. 1969년 경인에너지개발주식회사로 출발해 한화그룹 식구였다가 1999년 현대오일뱅크에 인수됐다.

이후 2001년 부도와 2003년 법정관리를 겪었다. 한솥밥 먹던 직원들은 눈물을 머금고 회사를 떠나야 했다. 이후 2006년 SK주식회사의 경영권 인수를 거쳐 2008년 SK에너지로 합병됐다. 2013년에야 인적분할을 통해 SK인천석유화학주식회사로 거듭났다.

최 사장은 “굴곡진 역사를 직원과 기업이 같이 겪다 보니, 일단 회사가 있어야 직원이 있다는 인식이 강하고 그래서 다른 기업에 비해 끈끈한 유대감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결국 “어려운 집 장남 같은 마음”이라는 그의 표현은, ‘집주인’(사주)이 바뀌고 ‘가족’(동료)이 떠나는 어려운 집안 사정 속에서 ‘장남’(노조)이 묵묵한 책임감으로 조용히 ‘집안’(인천석유화학)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는 의미다.

모기업인 SK이노베이션 노사의 행보도 비슷한 맥락이다. SK이노베이션 노사는 임금협상 갈등을 없앤 걸로 유명하다. 2017년부터 국내 대기업 최초로 전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임금 인상률을 결정한다.

소모적인 노사 투쟁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자는 차원이었다. SK이노베이션은 본사 구성원들이 매달 기본급의 1%를 기부하면 회사 역시 같은 금액을 내 ‘1% 행복 나눔’ 기금을 마련하고 이 돈을 협력사 직원 복지 등에 쓴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노사화합은 결코 쉽지 않은 문제다. 송철호 울산시장만 봐도 그렇다. 지난 2월 SK이노베이션이 행복 나눔기금 23여억원을 울산을 포함해 66개 협력사 구성원과 저소득층에 전달했는데, 이 전달식에서 송 시장은 눈물을 보였다. 오랜 인권 변호사 생활 동안 첨예한 갈등 상황에 익숙했던 송 시장은 “그간 수많은 행사에 다녔지만 오늘이 가장 기분 좋고 가치 있는 자리 같다”며 이례적인 노사 화합에 대한 감동을 전하며 울먹였다.

하지만 4개월 뒤인 지난 29일 송 시장은 삭발식을 통해 현대중공업의 서울 이전을 반대하면서 노사갈등 이슈의 중심에 섰다. 노사 화합에 감격해 눈물을 보였던 그가 불과 몇 달 뒤 그 대립의 정점에 뛰어들 만큼 노사갈등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연결돼 풀기 어려운 문제다.

현재 한국지엠은 군산공장 폐쇄 이후 법인 분리 등을 이유로 노조 갈등을 겪고 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지난해 임단협조차 아직 끝내지 못했다. 현대중공업도 지금 진행 중인 물적분할이 승계를 위한 사전작업이란 의혹까지 제기되며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당장 옳고 그름을 따질 수는 없다. 하지만 노사가 대립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기업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건 확실하다. SK가 모든 면에서 본보기가 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비현실적인 우호관계’로 노사화합을 이뤄내고 협력사와 불우 이웃까지 챙기는 모습은 생각해 볼 만하다.

white@seoul.co.kr
2019-05-31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