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3000여명이 잠든 땅… 파는 곳마다 치열한 전투 흔적이 그대로

3000여명이 잠든 땅… 파는 곳마다 치열한 전투 흔적이 그대로

이주원, 김규환 기자
입력 2019-05-29 23:14
업데이트 2019-05-30 03: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격전지’ 화살머리고지 발굴 현장 르포

총 맞은 수통·중공군 방독면 등 유품 나와
일대 54곳서 325점 유해 발굴·17구 수습
“남북 관계만 풀리면 올해 내 마칠 수 있어”
남북공동유해발굴 태스크포스(TF) 장병이 지난 28일 강원 철원군 민통선 내 우리 측 지역인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기초발굴을 하고 있다. 국방부는 지난 4월 1일부터 5월 22일까지 발굴된 유해는 총 321점이며 유품은 2만 2808점이라고 밝혔다. 철원 사진공동취재단
남북공동유해발굴 태스크포스(TF) 장병이 지난 28일 강원 철원군 민통선 내 우리 측 지역인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기초발굴을 하고 있다. 국방부는 지난 4월 1일부터 5월 22일까지 발굴된 유해는 총 321점이며 유품은 2만 2808점이라고 밝혔다.
철원 사진공동취재단
“65년 만에 처음으로 비무장지대(DMZ)에서 유해발굴 작전이 진행되는 겁니다. 남북 관계만 풀리면 당장 올해 내에 마칠 수 있습니다.”

강원 철원 DMZ 내 화살머리고지 남측 지역에서 지난 28일에 만난 문병욱 남북공동유해발굴 태스크포스 단장(대령)은 북쪽을 보며 이렇게 강조했다. 한국군은 지난달 1일부터 이곳에서 남북 공동유해발굴을 위한 사전 기초발굴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5사단 장병 등 100여명이 유해발굴용 호미를 들고 땅을 긁어내자 소총탄을 묶는 ‘탄 클립’이 나왔다. 인근에서는 소총탄으로 추정되는 유품도 나왔다.

기존에 발굴돼 이날 공개한 전사자의 유품들은 전쟁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었다. 국군 용사가 쓰던 수통에는 23개의 구멍이 총에 맞은 흔적으로 남아 있었고, M1 소총의 총열에는 미처 다 사용하지 못한 탄이 녹슬어 있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쓰던 미군의 방탄복, 국공 내전 당시 사용하던 중공군의 방독면이 완전한 형태로 발견되는 등 좀처럼 볼수 없는 유품들도 발굴됐다.

백마고지로부터 남서쪽 3㎞ 지점에 있는 해발 281m의 화살머리고지에서는 6·25전쟁 당시 1951년부터 2년간 4차례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국군 제9사단과 2사단, 미군, 프랑스군 대대가 전투에 참여했고 300여명이 전사했다. 북한군과 중공군 사망자는 3000여명에 이른다. 지금까지 화살머리고지 일대 54곳에서 50여구로 추정되는 325점의 유해가 발굴됐고 17구의 유해가 수습돼 중앙감식소로 보내졌다.
한국전 전사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품이 지난 28일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남북공동유해발굴 TF 장병들에 의해 발굴됐다. 삽, 수통, 반합, 전투화, 탄알 등 군용 물품들이 대부분이다. 철원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전 전사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품이 지난 28일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남북공동유해발굴 TF 장병들에 의해 발굴됐다. 삽, 수통, 반합, 전투화, 탄알 등 군용 물품들이 대부분이다.
철원 사진공동취재단
남북은 지난해 ‘9·19 군사합의’에 따라 화살머리고지에서 올해 4월부터 공동 유해발굴을 진행하기로 했지만 북측은 아직 참여하지 않고 있다. 다만 북측도 남측의 유해발굴 현장에는 관심을 보인다는 게 현장의 분위기다. 실제 국방부 관계자는 “우리 측 유해발굴에 대해 감시 범위를 넓히려는 듯 북한군은 기존의 감시초소(GP) 인근에 2∼3명이 근무할 수 있는 소형 감시소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한편 AP통신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은 지난해 8월 북한으로부터 돌려받은 55개의 유해상자에서 6·25전쟁 참전 미군 유해 가운데 3구의 신원을 추가로 확인했다. 기존의 3구를 포함해 총 6구의 신원이 확인된 것이다.

철원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서울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9-05-30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