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내 산업 고용창출 능력 15년 새 반토막

국내 산업 고용창출 능력 15년 새 반토막

장세훈 기자
입력 2019-05-28 23:50
업데이트 2019-05-29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2015년 고용표’ 발표

서비스 분야 취업계수 첫 10명 밑으로
취업자 수 늘고 임금근로자 비중 커져

국내 산업의 고용창출 능력이 15년 사이 반 토막이 났다. 기술 발달 등에 따른 불가피한 측면도 있지만 ‘고용 없는 성장’에 대한 우려는 커질 수밖에 없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5년 고용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국내 산업의 취업계수는 평균 6.2명으로 2010년(6.8명)보다 0.6명 하락했다. 2000년(13.7명)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취업계수는 10억원어치를 생산할 때 소요되는 취업자 수로, 주로 고용창출능력을 평가할 때 쓰인다.

특히 취업자 비중이 높은 서비스 분야에서 취업계수가 사상 처음으로 10명 밑으로 떨어졌다. 2000년만 해도 20.5명에 달했던 서비스 취업계수는 2005년 15.8명, 2010년 11.6명, 2015년 9.8명 등으로 내려갔다.

취업유발계수도 2000년 25.7명에서 2015년 11.8명으로 낮아졌다.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상품에 대한 최종 수요가 10억원 발생할 경우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취업계수가 하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취업자 수 대신 임금근로자 수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고용계수와 고용유발계수는 2015년 기준 각각 4.5명, 8.0명이었다. 2000년(8.0명, 14.6명)과 비교하면 각각 절반 가까이 줄었다.

그나마 취업자 수 자체는 늘고, 임금근로자 비중은 커졌다. 고용의 질은 나아졌다는 의미다. 2015년 취업자 수는 2383만명으로, 5년 전(2142만명)보다는 11.2%, 2000년(1873만명)과 비교하면 27.2% 증가했다. 고용표상 취업자는 상용·임시·일용직 임금근로자, 자영업자 및 무급가족종사자를 포괄한다.

부문별로는 서비스 취업자 비중이 70.5%(1680만명)로 가장 컸다. 5년 전보다 1.6% 포인트 상승했다. 임금근로자 수는 2010년 1456만명에서 2015년 1714만명으로 17.7% 늘어나며 취업자 수 증가세를 주도했다. 이에 따라 전체 취업자에서 임금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68.0%에서 71.9% 상승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9-05-29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