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때의 사회면] 아파트 희비 쌍곡선/손성진 논설고문

[그때의 사회면] 아파트 희비 쌍곡선/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19-05-26 17:12
업데이트 2019-05-27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파트 베란다 난간에 넌 빨래로 생긴 주민 갈등을 보도한 기사(경향신문 1976년 8월 24일자).
아파트 베란다 난간에 넌 빨래로 생긴 주민 갈등을 보도한 기사(경향신문 1976년 8월 24일자).
아파트는 주거혁명이었지만 주택에 오래 산 사람들이 대단지 아파트 생활에 익숙해지기가 쉽지 않았다. 우선 1970년대의 아파트는 주택보다는 나았지만, 쓰레기 처리 문제로 골치를 앓았다. 복도식에는 쓰레기 탱크가 있어서 각 층에서 구멍으로 아래로 쏟아붓게 돼 있었다. 그 때문에 1층 주민들은 악취와 벌레에 시달렸다(경향신문 1976년 9월 17일자). 더욱이 당시는 음식쓰레기를 분리해서 버리지 않아 고통이 심했다.

효자 노릇 하겠다는 아들 집으로 올라온 시골 노인에게 처음 생활하는 아파트는 예나 지금이나 감옥이나 다름없다. 갈 곳이 없어 아파트 시멘트 바닥에 우두커니 앉은 노인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던 때였다. 이사는 큰 문제였다. 엘리베이터가 없는 저층 아파트는 짐을 들거나 져다 날라야 했다. 고층 아파트는 엘리베이터가 있었지만 무거운 짐은 역시 계단으로 옮겨야 했는데, 피아노나 자개농 같은 귀한 가구들이 긁히고 파이는 일이 이사 때마다 있었다.

처음부터 아파트에 산 아이들에게 웃지 못할 일도 있었다. 양변기에서 일을 보던 아이가 학교의 재래식 변소를 이용하지 못해 옷에다 용변을 봤다. 마당이 없는 아파트에서는 빨래 널기가 보통 문제가 아니었다. 이불 같은 큰 빨래를 베란다 난간에 걸어 말리다 물이 뚝뚝 떨어져 위아래층 주민이 다투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입주자 지침서에는 ‘베란다에 빨래를 널지 마시오’라는 글이 씌어 있었다. 광(창고)이 없었으므로 잡동사니들은 모두 버려야 했다. 간장독, 된장독을 들고 와 베란다에 놓아 둔 가정을 흔히 볼 수 있었다. 서민 아파트는 벽이 두껍지 않아 피아노를 칠 수도 없었고, 상이 나도 곡(哭)을 할 수 없었다. 부부싸움도 옆집에 들릴까봐 참아야 했다.

어떤 작가가 ‘맨션아파트’에 사는 친구 집에 놀러 가서 허탈한 광경을 목격했다. 그 집 달걀껍질에 ‘맨션 달걀’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더라는 것이다. 물론 보통 달걀과 똑같은 것이었지만 허세를 부리는 부자들을 노린 상혼이었다(동아일보 1971년 10월 9일자).

서울 반포아파트가 단지 안에 초등학교 문을 연 것은 1974년이었다. 이 학교에 이웃 M초등학교 학생 344명을 편입시켜 개교했다. 문제는 그다음이었다. M초등학교 학생들의 가정은 대체로 어려웠다. 그 학교가 있던 동네는 일용직 근로자들이 많이 살고 강변이라 ‘갯마을’이라 불리었다. 두 학교 학생들을 합치다 보니 마찰이 생겼다. 반포아파트에 사는 학생들이 이웃 학교에서 전입해 온 학생들을 놀리고 따돌리고 윽박지른 것이다(동아일보 1974년 5월 29일자).

2019-05-27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