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반주 그 이상… 가곡 속 피아노를 만나다

반주 그 이상… 가곡 속 피아노를 만나다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5-06 22:30
업데이트 2019-05-21 1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악가·피아니스트 ‘이중주’ 가곡 무대

이안 보스트리지-서울국제음악제 제공
이안 보스트리지-서울국제음악제 제공
슈만의 연가곡 ‘시인의 사랑’의 첫 곡 ‘아름다운 5월에’에서 서정적인 피아노 연주가 빠진다면, 슈베르트 가곡 ‘물레 잣는 그레첸’에서 회전하는 물레를 표현하는 피아노 반주가 없다면, 누구도 그런 노래에서 매력을 느끼기는 어렵다. 예술가곡에서 피아노는 ‘반주’에 머물지 않고, 가수와의 ‘이중주’를 이루는 동반자가 되기때문이다. 조만간 성악가뿐 아니라 피아니스트에게도 관심을 가져볼 만한 가곡 무대가 관객을 찾는다.

“가곡에서 피아노는 정말 중요한 요소입니다. 노래를 장악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옥스퍼드대 역사학 박사 출신인 영국의 테너 이안 보스트리지는 내한을 앞두고 가진 6일 한국 언론과의 서면인터뷰에서 “연주회 때 피아니스트의 의견에 언제나 귀를 기울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슈베르트 3대 가곡집 전곡 공연을 위해 내한하는 그의 무대가 더욱 특별한 이유는 바로 성악 전문 피아니스트 줄리어스 드레이크가 함께하기 때문이다.
줄리어스 드레이크-서울국제음악제 제공
줄리어스 드레이크-서울국제음악제 제공
드레이크는 예술가곡의 텍스트를 가장 잘 살려내는 피아니스트라는 평가를 받는다. 보스트리지뿐만 아니라 마크 패드모어, 사이먼 킨리사이드, 크리스토프 프레가르디엥 등 유명 성악가들과의 협업으로 유명한 그는 오스트리아 그라츠대에서 성악 반주 전문 피아니스트를 양성할 만큼 가곡 무대에 특화된 중견 연주자다. 드레이크와 수차례 공연하고 음반, 영상물도 함께 만든 바 있는 보스트리지는 자신이 쓴 책 ‘겨울나그네’에서 “그는 이 책의 여정에서 가장 멋진 동반자이자 현명한 친구이며 비범한 음악가”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가곡에서 성악과 반주가 동등한 위치에 서기 시작한 것은 슈베르트 때부터다. 프로 무대에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는 음악의 템포나 표현, 균형감 등 기술적인 문제에 대해 항상 논의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주고받는다. 보스트리지는 “가곡 공연에서는 기존 레퍼토리를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피아니스트가 그 레퍼토리에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할 때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번 세 차례 공연은 서울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예정돼 있다. 사랑을 잃은 젊은이의 감정을 따라가는 ‘겨울나그네’는 10일, 한 젊은이의 사랑 경험을 구체적으로 그리는 ‘아름다운 물방앗간 아가씨’는 12일, 슈베르트의 유작 가곡집이 된 ‘백조의 노래’는 14일 각각 진행된다.
조성진 ⓒHarald Hoffmann/DG
조성진 ⓒHarald Hoffmann/DG
한국 팬이라면 국내 무대에 서는 또 한 명의 ‘가곡 반주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바로 피아니스트 조성진이다.

“조성진이라는 이름 들어보셨어요? 아주 흥미로운 연주자입니다.”
마티아스 괴르네 ⓒcaroline de  bon
마티아스 괴르네 ⓒcaroline de bon
보스트리지와 함께 ‘슈베르트 스페셜리스트’로 불리는 독일의 스타 바리톤 마티아스 괴르네가 “동양의 젊은 피아니스트와 가곡 공연을 준비하고 있다”며 한국의 한 음악칼럼니스트에게 한 말이다. 괴르네는 조성진과의 듀오 공연을 기획하고 있다며 당시 대화에서 상당한 기대감을 나타냈다고 한다. 지난해 4월 파리와 런던, 빈 등 유럽 주요 공연장에서 선보인 괴르네와 조성진의 무대를 오는 9월 18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만날 수 있다. 파리에서 처음 알게 된 두 사람은 평소 괴르네를 좋아했던 조성진이 그의 공연장을 찾았다가 만나 듀오 공연까지 성사됐다는 후문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방랑자, 저녁별, 어부의 사랑의 기쁨 등 슈베르트의 주요 가곡을 바리톤 특유의 어두운 음색으로 들을 수 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9-05-07 2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