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진들] SI 커버에 등장한 첫 부르키니 모델 할리마 아덴

[사진들] SI 커버에 등장한 첫 부르키니 모델 할리마 아덴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4-30 10:36
업데이트 2019-04-30 1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I 수영복 특집  BBC 홈페이지 캡처
SI 수영복 특집
BBC 홈페이지 캡처
SI 수영복 특집  BBC 홈페이지 캡처
SI 수영복 특집
BBC 홈페이지 캡처
미국 잡지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SI)’는 일년에 한 번씩 수영복 차림의 모델을 커버스토리에 등장시킨다. 올해는 처음으로 부르키니(부르카+비키니) 차림의 무슬림 모델이 등장했다. 소말리아계 미국인 슈퍼모델 할리마 아덴이다. 케냐 난민 캠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뒤 미국으로 일곱 살에 건너와 히잡을 쓰기 시작했다. 부르키니는 얼굴만 빼고 손과 발까지 모두 가리는 수영복이다.

그녀는 29일(현지시간) 영국 BBC 인터뷰를 통해 “히잡을 쓰는 어린 소녀들은 어떤 산업이건 모든 산업에서 일하는 여성을 바라보고 본받으려 한다”면서 “정치인들이나 기업인들이나 텔레비전 리포터들이나 눈에 띄는 성공을 이룬 히잡을 쓴 여인들을 보게 되는데 우리가 보내고 싶어하는 메시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 반응은 믿을 수가 없으며 SI가 정숙하게 차려 입은 여인들이 지닌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데 한 발 내디딘 것이 자랑스럽다”고 덧붙였다.

프론트 페이지에 타이라 뱅크스나 비욘세를 실었던 SI는 남성 독자가 압도적인 잡지라 엇갈린 반응을 낳고 있다.

한 트위터리언은 “종교적 소명이라고 생각했건, 정숙해 보이고 싶었건 간에 히잡을 쓰거나 피부를 가리려면 이렇게 여성을 객체화하며 섹시한 포즈를 취하는 것은 완전히 직관에 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이는 “여성들에게 사라고 선전하는 수영복 카탈로그에 있었다면 갖고 싶었겠지만 남성을 위해 만들어지는 잡지에 실려 히잡을 쓰는 목적 자체에도 맞지 않다”고 썼다.

반면 인스타그램에서는 긍정적인 멘트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매년 놀라움을 선사하더니 올해는 더 새로운 이슈를 제기한다”거나 “경계를 무너뜨렸다야!”라고 적은 이도 있었다.

아덴은 2017년 BBC 인터뷰를 통해 히잡이 왕관이며 여성들의 선택권을 누리게 하기 위해 디자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녀는 “지금까지 히잡을 쓴 모델을 보지 못했다는 것에 놀랄 지경이다. 흔한 일이어야 하고, 어떤 다른 모델과 다른 구석이 전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같은 해 7월 미국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누리는 잡지 알루어(Allure) 커버스토리에 히잡을 쓴 채로 처음 등장해 화제를 낳았다.

부르키니를 디자인한 이는 호주 무슬림 아헤다 자네티로 호주 해안에서 인명구조 요원으로 일하는 무슬림 여인들이 입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자네티 역시 “우리 소녀들이 자라서 선택의 자유를 누릴 수 있었으면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프랑스 여러 마을에서는 세속주의에 위배된다는 이유를 들어 당국이 입지 말도록 해 논란을 빚고 있다. 자네티는 이에 대해 “그들은 통제하려고만 들겠다는 것이지? 왜 그들은 밖에 나가 보통의 삶을 살 수 있도록 내버려두지 않는 것일까?”라고 되물은 뒤 “이런 사람들이 여성들이 진짜 원하는 것에 귀를 기울이지도 않고 한 가지 의견만 갖고 있는데 이런 선택이 있다는 것에 감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2017년 7월 미국 잡지 ‘알루어’ 커버스토리에 히잡을 쓰고 등장했던 할리마 아덴. 알루어 홈페이지 캡처
2017년 7월 미국 잡지 ‘알루어’ 커버스토리에 히잡을 쓰고 등장했던 할리마 아덴.
알루어 홈페이지 캡처
호주 해변에서 인명구조 요원으로 일하는 무슬림 여성이 부르키니를 걸친 채 한 아이를 돌보고 있다.  AFP 자료사진
호주 해변에서 인명구조 요원으로 일하는 무슬림 여성이 부르키니를 걸친 채 한 아이를 돌보고 있다.
AFP 자료사진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