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입맞춤 동의는 성관계도 허락한 것?” 남녀 서로 다른 ‘성결정권 인식’

“입맞춤 동의는 성관계도 허락한 것?” 남녀 서로 다른 ‘성결정권 인식’

신형철 기자
입력 2019-04-20 11:00
업데이트 2019-04-20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19일 19-64세의 성인 남녀 1840명을 대상으로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에 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여성과 남성 사이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남성은 여성에 비해 상대방과의 성관계 시나 도중에 성적 동의와 의사 존중의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덜 인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응답 남성 다섯 중 한 명 “키스 동의한 것은 성관계도 동의한 것”
<자료:한국여성정책연구원>
<자료: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진은 성적 동의와 자기결정권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6개의 질문을 물었다. ①키스에 동의했으면 성관계도 동의한 것이다. ②성관계는 할 때마다 상대방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③성관계 도중 상대방이 중단하겠다고 해도 계속해도 된다. ④사랑하는 사이라면 내가 원하지 않아도 성관계를 해야 한다. ⑤사랑하는 사이에서 성관계를 하지 않는 것은 관계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⑥피임하지 않겠다는 상대방과는 성관계를 할 필요가 없다 등이다.

먼저 ①번 질문에 대해 15.8%만 그렇다고 답해 대부분은 키스에 동의한 게 성관계에 동의한 것과 같지 않다고 했다. ②번에 대해서는 87.0%가 동의했고, 3번에 대해서는 8.3%마 동의했다. 이런 결과를 본다면 대부분이 성관계를 시작할 때 그 과정을 상대방에물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남녀 응답자를 비교해보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번 질문에

대해 여성 응답자는 8.4%만이 동의 했지만, 남성은 22.9%가 키스에 동의했으면 성관계도 동의한 것이라고 답해 두 배 이상 높았다. 성관계 도중 상대방이 중단하겠다고 해도 계속해도 된다는 ③번 질문도 여성은 5.1%가, 남성은 11.3%가 그렇다고 답했다. ‘사랑하는 사이에서 성관계를 하지 않는 것은 관계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는 ⑤번 질문에는 여성(28.8%)보다 높은 53.4%의 남성이 그렇다고 답해, 여성보다 남성이 더 ‘사랑’과 ‘성관계’가 반드시 병행돼야 하는 것으로 인식한다고 나타났다.

●여성 열명 중 일곱 “원하지 않는 신체 접촉 경험했다”
이미지 확대
동덕여대 본관에 나붙었던 미투 지지 포스트잇 메시지들
동덕여대 본관에 나붙었던 미투 지지 포스트잇 메시지들 서울신문 DB
이에 따른 남녀간 ‘피해와 가해의 경험에도 차이가 있었다. 피해를 받은적 있다는 답변은 여성이 더 높았다. ’내가 원하지 않았는데 누군가가 나의 얼굴과 어깨, 허리와 엉덩이 등의 몸을 만진적이 있다‘는 질문에 여성은 71.7%가 그렇다고 답했고, 남성은 46.2%가 동의했다. 반면 가해 경험이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한 ’나는 상대방이 원하는지 확인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키스를 한 적이 있다‘는 질문에 여성은 ’3.9%‘만이 그렇다고 답했고, 남성은 다섯 명 중 한 명 꼴인 21.8%가 그렇다고 답했다. 나는 상대방이 원하는지 확인하지 않고 상대방의 가슴이나 성기를 만진 적이 있다는 질문에는 여성의 3.8%가 그렇다, 남성의 19.2%가 그렇다고 답했다.

연구진은 “남녀 모두 본인과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신체 접촉이나 성관계 등 성적 피해를 입거나 가해를 한 적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여성은 피해의 경험이, 남성은 가해의 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개인의 생각’보다 ‘사회 통념’은 여성에 훨씬 엄격하다
이미지 확대
성별에 따른 고정관념(stereotype)은 ‘사이언스’에서도 분석한 바 있다.
성별에 따른 고정관념(stereotype)은 ‘사이언스’에서도 분석한 바 있다. 사이언스 제공
연구진은 응답자에게 ‘나’가 주체일 때와, ‘우리사회’가 주체일 때를 구분해 묻기도 했다. 응답자 개인의 신념과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통념을 구분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우리 사회에서 혼전 성관계 등 ‘성’과 관련된 통념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혼전에도 성관계를 할 수 있다’는 질문에 응답자 ‘나’ 기준에서는 80.1%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우리사회’ 기준에서는 이 보다 소폭 높은 89.1%가 동의했다. 응답자가 생각하기에 우리나라에서 남성의 혼전 성관계에 대한 사회적 통념이 더 관대하다고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그 주체가 여성인 경우엔 상황이 달랐다. 이 항목과 비슷한 맥락에서 물어본 ‘남성은 사랑하는 사람과 성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질문과 여성은 사랑하는 사람과만 성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질문에 ’나‘ 기준에서는 각각 70.0%와 74.7%가 동의해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우리사회‘ 기준에서는 주체가 남성일 때 41.4%가 그렇다, 주체가 여성일 때 70.6%가 그렇다고 답했다. 남성의 성관계에대한 우리사회의 통념이 여성보다 훨씬 컸던 것이다.

‘여성의 선택에 따라 임신을 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질문에 ‘나’ 기준에서는 78.2%가 그렇다고 응답했지만, 우리 사회 기준에서는 38.3%만이 동의했다. 즉, 응답자의 상당수는 ‘개인’차원에서는 여성이 임신을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우리사회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사회는 성을 향유할 권리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인권으로 인식하는 게 아니었다”며 “성인 중심, 남성 중심의 권리로서 우선하는 통념이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진 “여성의 성과 재생산 건강 남성도 함께 참여해야”

연구진은 여성의 성과 재생산 건강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남성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국가와 사회의 전 영역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우위의 권력을 행사하고 있어서다. 연구진은 “일반적으로 가족계획에서 남성은 여성과 같은 가족계획의 당사자면서 동시에 여성을 돕는 조력자로 그 위치와 역할을 부여받는다”며 “남성은 여성의 파트너이면서 동시에 여성의 성과 재생산 과정에 참여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