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자가’(自家) 신혼집/이순녀 논설위원

[씨줄날줄] ‘자가’(自家) 신혼집/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9-03-24 21:20
업데이트 2019-03-25 02: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개봉한 영화 ‘소공녀’는 집에 대한 요즘 청년 세대의 고민을 ‘웃프게’ 보여 준 작품이다. 가난한 연인이 자취방에서 사랑을 나누려다 너무 춥다며 다시 옷을 입는 장면을 보고 웃다가, 결혼하려면 전세금이라도 있어야 하지 않냐며 남자가 사우디아라비아로 떠나는 대목에선 마음이 짠해진다.

주인공의 후배가 들려주는 얘기도 여운이 길다. 신혼집으로 아파트를 사서 결혼한 지 얼마 안 돼 이혼한 그는 홀로 남은 허탈한 심정을 이렇게 돌려 말한다. “이 집 대출이자가 한 달에 얼만 줄 알아. 원금 포함해서 백만원이야. 그걸 이십년이나 내야 돼. 이십년 뒤면 이 집이 내 거가 된다는데, 그때 되면 이 집이 낡겠지?”

청년 세대가 신혼집 마련을 위해 빚을 내는 비율이 갈수록 높아진다고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를 보면 2014년 이후 결혼한 청년 세대의 50.2%가 신혼집을 구하려고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세대(1998년 이전 결혼)의 경우 16%였던 것에 비해 3배가 넘는다. 대출 액수도 커졌다. 부모 세대는 1억원 이상 대출받은 사례가 1%였지만 청년 세대는 37.7%까지 높아졌다. 2억원 이상 대출받은 비율도 3%에 달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신혼집은 남자가 마련해야 한다’는 고정관념도 변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미혼 여성의 72.3%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해 남성(70%)보다 반대 비율이 높게 나왔다. “전통적인 성별 역할을 수용하지 않는 추세로 해석할 수 있겠지만,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높아진 주거 부담을 어느 한쪽이 전적으로 책임지는 게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전셋집에서 시작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는 신혼부부의 보편적 주거 서사도 더는 찾아보기 어려운 시대가 됐다. 집을 사서 출발하거나 아니면 전세를 포기하고 월세를 감수하는 신혼부부가 늘었다고 한다. 통계를 보면 2014년 이후 결혼한 부부 가운데 내 집에서 신접 살림을 차리는 ‘자가’(自家) 신혼부부의 비율이 34.9%였다. 2008년까지는 전세 비중이 자가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대출을 받든 부모의 도움을 받든 집을 구할 능력을 갖추고 나서야 결혼을 하겠다는 요즘 세대의 현실적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반면 월세로 신혼집을 마련하는 경우 역시 16.5%로 역대 최고를 기록해 사회 전반의 양극화 심화가 신혼집에도 반영되는 모양새다. 정부가 행복주택, 신규분양 아파트 특별 공급, 각종 대출 지원 등 신혼부부의 집 걱정을 덜어 주는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아직 턱없이 부족하니 답답한 노릇이다.
2019-03-25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