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종로·명동 상권 희비… 맞춤형 대책 필요

종로·명동 상권 희비… 맞춤형 대책 필요

조용철 기자
입력 2019-03-24 22:02
업데이트 2019-03-25 02: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명동은 이태원에 신흥 상권 내줘 하락

종로는 교통·프랜차이즈 영향 활성화
상권 따라 활성·자본진입 억제 정책을
이미지 확대
위기에 처한 자영업자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려면 해당 지역 상권의 이른바 ‘생로병사’를 감안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 서울의 대표 상권인 종로와 명동은 상권이 처한 상황이 달라져 매출 등에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4일 중소기업연구원이 서울의 43개 생활밀착형 업종의 매출액을 통해 상권 유형을 분석한 ‘상권 주기에 따른 소상공인 및 자영업 정책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명동은 주변 이태원에 신흥 상권을 내주면서 ‘상권 하락 지역’으로 꼽혔다. 명동역 상권의 월평균 음식점 매출은 2017년 상반기 4500여만원에서 하반기 4000여만원으로 움츠러들었다.

상권은 성장, 활성, 하락, 쇠퇴, 낙후, 회복 등 6단계를 거치는데 명동과 같은 하락 지역은 매출액 증가세가 꺾인 곳을 뜻한다. 오류동과 장충동 일대 등 ‘상권 낙후·쇠퇴 지역’도 매출액 감소가 두드러졌다.

반면 합정과 용산 등 ‘상권 성장·활성 지역’ 내 소상공인들은 꾸준한 매출액을 유지했다. 실제 용산2가동 일대의 월평균 총매출액은 40억원 안팎에서 4년째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정은애 중기연 부연구위원은 “높은 매출액을 유지하는 상권 활성 지역으로는 종로와 강남 등 전통적인 강세 지역이 많은데 이들 지역은 대중교통 접근이 용이하고 프랜차이즈 업체수가 많은 것이 특징”이라면서 “상권 낙후 지역은 주거 인구 수요를 담당하면서 다가구·다세대·공동주택 비율이 높은 점이 관찰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상권 성장·활성 지역의 경우 ‘상권과열지구’로 지정해 일정 기간 자본 진입을 억제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임대료 상승 상한제’ 등 규제 방안을 만들어야 소상공인들의 상권 밖 이탈을 막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 부연구위원은 “매출액이 낮은 상권에 대해서는 도시재생과 연계해 우선 지역을 중심으로 상권을 활성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9-03-25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