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보 11호’ 미륵사지 석탑 주먹구구 복원 …감사원 “원형과 달라”

‘국보 11호’ 미륵사지 석탑 주먹구구 복원 …감사원 “원형과 달라”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9-03-21 18:32
업데이트 2019-03-21 18: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년간 230억 투입… 새달 준공식

“실측설계도서 없이 해체·보수 공사
사전 검토 제대로 안해 일관성 없어
상하부 내부형태 층별로 달라져
축석 방식 변경 붕괴 가능성 우려도”
이미지 확대
해체·보수 공사를 마친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 21일 당당한 모습을 뽐내고 있다(왼쪽). 감사원은 이날 문화재청의 보수·복원 작업이 일관성 없이 이뤄져 문제가 있다는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보수·복원 전 익산 미륵사지 석탑으로 세월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구조 자체가 불안정해 보인다(오른쪽).  문화재청 제공
해체·보수 공사를 마친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 21일 당당한 모습을 뽐내고 있다(왼쪽). 감사원은 이날 문화재청의 보수·복원 작업이 일관성 없이 이뤄져 문제가 있다는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보수·복원 전 익산 미륵사지 석탑으로 세월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구조 자체가 불안정해 보인다(오른쪽).
문화재청 제공
지난 20년에 걸쳐 진행된 국보 제11호인 전북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 보수복원 사업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21일 국가지정문화재 보수복원사업 추진실태 감사를 벌인 결과 “문화재청이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을 보수정비하면서 원형대로 복원하기 위한 사전 검토 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 결과 국내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석탑인 미륵사지 석탑의 상하부 내부 형태가 원형과 달리 층별로 달라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축석 방식을 변경하면서 안전성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아 구조적으로 불안정해 향후 붕괴 가능성에 대한 우려마저 나온다. 1998년 시작된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는 20년의 작업 끝에 최근 마무리돼 다음달 준공식을 한다. 총 230억원이 투입됐다.
미륵사지 석탑을 해체할 당시 탑의 몸체에 해당하는 ‘적심’(석탑 내부에 돌과 흙을 쌓아 올려 탑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은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석재들로 쌓여 있었고 사이의 틈은 흙으로 채운 형태였다. 그러나 문화재청은 기존 적심부 석재들의 일정하지 않은 모양과 품질 저하를 이유로 적심석 대부분(97.6%)을 직사각형 모양의 새로운 석재로 교체해 반듯하게 쌓기로 계획했다.

이후 석탑의 2층 적심부까지 새로운 석재 가공작업을 진행하다가 2016년 초 원래의 축석 방식과 부재를 보존한다는 이유로 당초 설계와 달리 3층 이상의 적심에 대해선 기존 부재를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이로 인해 석탑 상하부의 내부 적심이 다른 형태로 축석되는 등 일관성이 없는 방식으로 복원됐다.

문화재청은 특히 축석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구조적 안정성도 제대로 검토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적심은 석탑 구조의 안정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조 계산 등을 거친 후 설계도서를 마련해 시공해야 하는데도 설계도서 없이 탑을 쌓아 올렸다.

문화재청은 또 3층 이상 적심부의 틈을 채우기 위한 충전재를 황토를 배합한 ‘무기바인더’(무기질 접착제)로 변경하면서 자문 등을 거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보수 전 미륵사지 석탑의 붕괴 원인 중 토사 유실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을 감안하면 성능이 낮은 황토를 배합한 충전재를 선택한 것은 잘못됐다는 것이다.

감사원은 문화재청장에게 “석탑 복원에 도입한 축석 방식이 틈을 유발해 구조적으로 불안정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 구조 안정성 검증 후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 방안을 검토하라”고 통보했다. 여기에 “앞으로 축석 방식 보존과 기존 부재 재사용 가능 여부 등을 검토하고 실측설계도서 없이 문화재를 수리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주의를 요구했다.

최광숙 선임기자@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