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n&Out] 박용만의 대조선국민군단 병영터 현장을 찾아서/심헌용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In&Out] 박용만의 대조선국민군단 병영터 현장을 찾아서/심헌용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입력 2019-03-17 22:42
업데이트 2019-03-18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심헌용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심헌용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군사편찬연구소는 지난해 12월 탐방단을 꾸려 항일 독립운동가 박용만의 무장투쟁 행적을 찾기 위해 하와이에 다녀왔다.

하와이에 한인이 처음 도착한 때는 1903년 1월 13일이다. 한인들은 어려운 노동 과정에서도 자신들의 수입 25%를 독립 의연금으로 내놓았다. 이민자 사이에 독립운동가 박용만도 포함됐다. 1905년 2월 도미한 박용만은 1908년 9월 네브래스카주 헤이스팅스대학에서 정치학을 배우며 ROTC에 입단했다. 그는 대학의 한 건물을 임차해 학생들을 기숙시키고 군사훈련을 시켰다. 해외 한인사회 최초의 일이었다. 그는 1909년 6월 커니 농장에서 시작된 한인소년병학교를 이듬해 4월 헤이스팅스 기숙학교로 옮겨 운영했다. 미래 독립 전쟁에 나설 군인을 양성하는 게 목적이었으나 일본의 압력과 재정난으로 지속하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박용만은 훗날 독립 전쟁을 수행할 부대와 군인을 양성하고자 2000~3000명의 장정으로 구성된 병학교를 창설하고자 했다. 박용만은 자금을 모으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다. 이때 파인애플 농장을 운영하려던 박종수가 뜻밖에 농장을 내놓았다.

이번 답사 중 확인한 ‘박종수 수기’에 따르면 그는 1913년 말 오아후섬 동쪽 카할루 지역에서 파인애플 농장 관리 회사로부터 땅 400여 에이커를 5년간 임차하고 있었다. 박용만의 포부를 들은 박종수는 자신의 농장을 선뜻 박용만에게 인계해 대조선국민군단이 정식으로 창설됐다. 박용만은 군단장, 박종수는 대대장을 맡았다. 코올라우산 너머에 위치한다 하여 ‘산 넘어 병학교’라 불렸다.

대조선국민군단은 하와이 한인사회에서만이 아니라 상하이나 간도 지방에서도 학생이 지원했다. 선발된 학생 240명은 대략 17~35세 사이의 장정들이었다. 이 중 75명이 대한제국 군인 출신인 ‘광무군인’(光武軍人)이었다. 국민군단 학생은 오전 4시 기상해 5시 식사를 마치면 7시부터 농장 작업을 하고 9시에서 11시까지는 군사훈련에 임했다.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농장 작업에 투입되고 7시부터 학교 교육에 임하는 등 노동과 학습, 군사훈련을 병행했다. 그러나 병학교는 지속되지 못했다. 최영호 전 하와이대 교수는 하와이 주정부 문서보관소에서 찾은 문서를 단서로 일본의 견제로 병학교 운용이 더이상 불가능했다고 추론했다.

1915년 7월 6일 미 국무장관은 하와이 주지사에게 한인들의 반일 활동에 대한 주미 일본대사관의 불만 내용을 전했다. 하와이 주지사는 조사 후 일본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회신했지만, 분란의 소지를 계속 안고 있을 수는 없었다. 그 후 대조선국민군단은 카후쿠로 이동했다가 다음해 해체됐다. 그럼에도 박용만은 미래 독립 전쟁에 대비한 군인 양성 사업을 무장투쟁론 실현을 위한 핵심이란 지론을 견지해 나갔고, 3·1운동의 촉발로 그 실천 장소는 미주 하와이가 아니라 만주 연해주로 이어지게 됐다.
2019-03-18 29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