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30 세대] 아버지의 이름으로/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2030 세대] 아버지의 이름으로/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입력 2019-03-14 23:02
업데이트 2019-03-15 03: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긴 소설을 읽다 보면 등장 인물들의 이름이 헷갈려서 책장을 앞뒤로 넘기곤 한다.

러시아 소설 속의 알렉세예비치, 이바노비치, 이바노브나, 알렉산드로브나. 이 특이한 -오비치, -예비치, -오브나 같은 끝말들은 러시아에서 중간이름으로 사용하는 부칭들이다. 아버지 이름에서 따 왔단 얘기다. 로마노비치는 로만의 아들이란 뜻이고, 표도로비치는 표도르의 아들이다. 영어권 나라 사람들의 성씨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존슨’이나 ‘윌슨’도 사실 부칭에서 비롯되었다. 존의 아들. 윌리엄의 아들.

어떤 사람을 부모, 특히 아버지와 연관해서 부르는 관습은 오랜 역사가 있다. 고대 그리스 시인 호메로스의 작품 ‘일리아스’는 이렇게 시작한다.

“여신이여, 펠레우스의 아들- 아킬레우스의 분노를 노래하라.”

그리스의 영웅들은 아버지의 이름을 명함처럼 지니고 다닌다. ‘홍길동 CEO’가 아니라 ‘아킬레우스-펠레우스의 아들’이다. 영웅의 아버지는 아버지 역시 영웅이었을 것이다. 그러니 아버지는 자부심의 대상이고, 아들이 뛰어넘어야 할 본보기이며 또한 경쟁자이다. 같은 시 ‘일리아스’에서 영웅 헥토르는 아들이 자신보다 위대하기를 기도한다.

요즘 사회에서 아버지 이름만 믿고 뽐내는 젊은이는 가증스러울 것이다. 부칭 제도 역시 부담스러울 수 있다. 우리는 부모의 소유품이 아니지 않은가.

하지만 나는 아는 사람이나 가까운 사람을 누구의 자식이라 생각하면 그에 대한 감정이 훨씬 부드러워진다. 그를 덜 판단하게 되고, 인간으로서 아끼고 싶고, 그에 대해 정을 느낀다. 그를 이유 없이 사랑하는 가족의 마음이 내게 전해진 것일까.

어느 공중 화장실에서 이런 안내판도 보았다. 아마도 나와 같은 사람을 염두에 두고 쓰여졌을 것이다. ‘청소 아줌마도 누군가의 어머니입니다’.

머릿속 조밀하게 자리잡고 있는 편견들을 고려하면, 우리에게 좋게 비칠 만큼 깨끗한 인물은 없다. 나에게 무척 잘하는 친구 정도라면 모를까. 그러나 ‘너희가 만일 선하게 대하는 자만을 선하게 대하면 칭찬받을 것이 무엇이냐’.

우리 이익과 무관한 남을 소중히 대하려면 그를 가족이라는 긴 연결 고리의 한 끄트머리로 연상한다. 가족은 곧 누구나 나누는 공감대다. 그리고 부칭은 가족의 존재를 줄곧 상기시킨다. 이름이란 사람을 늘 따라다니는 것이니까.

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게 억류된 어느 서양인은 자신을 고문하는 군인들을 이해하고 용서하려 했다. 그래서 그는 고문자들의 어렸을 때 모습을 상상했다고 한다.

누구를 누군가의 자식으로 보는 것은 곧 그를 아이로 보는 것이다. 아이들을 혐오하거나 심판할 수는 없다. 혐오를 사기 쉬운 사람은 가족에게서 멀리 떨어진, 섬처럼 흩어져 떠다니는, 자유로운 개개인이다.
2019-03-15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