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기막힌 두 가지/김이설 작가

[문화마당] 기막힌 두 가지/김이설 작가

입력 2019-03-13 17:32
업데이트 2019-03-14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이설 소설가
김이설 소설가
주말에 두 딸을 데리고 영화 ‘캡틴 마블’을 보고 왔다. 이 영화의 가장 멋진 장면은 ‘나는 언제나 통제당한 채 싸워 왔지. 내가 자유로워지면 어떻게 될까’라는 독백과 함께 주인공 캐럴이 일어서는 장면이다. 자전거를 타다가, 군사훈련을 받다가 넘어진 캐럴에게 세상은 야멸차게 소리를 질렀다. 여자여서 하지 못한다고, 여자가 왜 이걸 하느냐고. 그럴 때마다 캐럴은 묵묵히 일어섰다. 어느 누가 칭찬하거나 대견해하지 않아도 심지어 관심조차 주지 않는 일에 캐럴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자 옳은 일은 그저 다시 일어서는 일이었다는 걸 보여 주는 것처럼 말이다. 그 장면에서 나는 가슴이 먹먹해졌다. 능력을 의심받자 잠시의 흔들림 없이 ‘내가 왜 증명해 보여야 하는가’라고 맞받아치는 장면에서는 그만 시큰하게 눈물이 고였다.

영화가 끝나고 나오는데 두 아이들은 흥분을 감추지 않고 종알거렸다. 마블 시리즈의 다른 히어로들과는 달랐다고. 슈트나 장비의 힘이 아닌, 본인의 힘으로 히어로가 된 것이어서 더 멋졌다고. 영화 속에 숨겨 있는 페미니즘적 메시지가 정말 마음에 들었다면서 말이다. 아이들은 이미 여성과 남성이 평등하지 않다는 전제를 몸으로 익혀 왔기 때문에 그걸 전복한 영상에 매료된 것이었다.

여성과 남성이 완벽히 평등한가. 단 한 가지, 단 한 부분이라도 평등하지 않으면 그건 평등한 게 아니다. 문득 ‘궁극적으로 여성에게 평등한 사회는 남성에게도 평등한 사회다’(조앤 리프먼 ‘제가 투명인간인가요?’)라는 말이 떠올랐다. 그걸 영화가 시원하게 설명해 주었다. 기가 막히게 즐거운 일이었다.

두 번째 기막힌 일은 연예인 승리를 둘러싼 범죄 의혹들을 접한 것. 우선 동료 연예인 정준영의 카톡방 메시지의 충격이었다. 여성을 사냥의 먹잇감으로 치부해 전시하고 공유하며 소비했으며 심지어 서로에게 그 방법을 독려한 남성 카르텔의 모습을 공고히 드러냈다. 이 와중에 포털 검색어에 ‘정준영 동영상’이 뜨는 걸 보면서(그들이 공유한 비디오를 찾아 같이 공유해 보겠다는 것 아닌가!) 참담함을 넘어 분노까지 일게 됐다.

여론은 승리 뒤의 또 다른 범죄 세력을 감추기 위해 정준영으로만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 인상이다. 그러나 우리는 잊지 않고 있다. 승리 뒤에 숨은 검찰, 경찰, 승리의 소속사와 지난 정권의 관련성, 조폭들, 마약과 성폭행을 일삼은 고위층과 재벌들의 자식들까지. 그 모든 것이 샅샅이 파헤쳐지길 바란다.

무엇보다 그들의 범죄 안에 항상 여성이 피해자로 자리했다는 것을 간과할 수 없다. ‘성폭력 가해자는 하루아침에 탄생하지 않는다’는 기사를 읽었다. 불법 촬영이 범죄라는 인식의 부재, 범죄 행위를 묵인하는 문화는 결국 성폭력의 유지를 도왔다. 지난 1년 동안 무수히 거론된 미투 운동, 학내 성폭력 사태를 접할 때마다 대체 이 나라에서 어떻게 딸을 키워야 하는지 엄마로선 공포와 같았다. 가장 처참한 건, 내가 자라면서 겪은 일을 30여년이 지난 지금의 내 아이들 세대도 똑같이 겪어 왔다는 사실이었다.

지난 8일은 세계여성의날이었다. 딸을 키우는 엄마로서, 40여년을 살아온 중년 여성으로서, 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바라건대 부디 아주 사소한 교육부터 실천하는 이 나라가 됐으면 좋겠다. 성폭력 하지 마라, 성행위 영상 공유하지 마라, 남의 몸은 보는 것이 아니다라는 아주 일차원적인 교육 말이다.

정말 바라건대 ‘캡틴 마블’의 캐럴이 실존 인물이어서 썩어 빠진 성의식을 가진, 여성을 한낱 고깃덩어리로 취급하는 것들을 싹 다 때려 부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 후에 남은 이들과 오순도순 살면 기가 막히게 행복하겠구나 하는 상상. 우습고 유치한 상상이지만 간절한 바람이라는 것이 씁쓸할 뿐이다.
2019-03-14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