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만삭의 위안부 피해자’ 등 사진 실물 3장 국내 첫 공개

‘만삭의 위안부 피해자’ 등 사진 실물 3장 국내 첫 공개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2-18 13:56
업데이트 2019-02-18 15: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서울대 연구팀, 미군이 찍은 사진 확보해 전시회서 첫선

이미지 확대
서울시, 일본군 ‘위안부’ 모습 담은 사진 실물 3장 최초 공개
서울시, 일본군 ‘위안부’ 모습 담은 사진 실물 3장 최초 공개 서울시가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의 모습을 담은 3장의 사진 실물이 3?1 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열리는 전시회 ‘기록 기억: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다 듣지 못한 말들’에서 최초로 공개된다고 18일 전했다. 이 사진들은 서울시와 서울대학교 정진성 연구팀이 지난 3년간 추진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을 통해 확보한 것이다. 사진은 1944년 9월 3일 촬영된 ‘위안부’ 박영심 포획 사진 실물. 2019.2.18 서울시·서울대 정진성 연구팀 제공=연합뉴스
지친 표정으로 흙더미에 기댄 만삭의 여인. 머리는 헝클어졌고 맨발은 가까스로 땅바닥을 디디고 있다.

1944년 미군이 찍은 흑백 사진 속 위안부 피해자의 모습이다. 이 사진은 일본군 위안부 운영의 참상을 담은, 대표적인 사진으로 잘 알려졌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모습을 담은 대표 사진 3장의 실물이 국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서울시와 서울대 정진성 연구팀은 25일 서울도시건축센터에서 개막하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전 ‘기록 기억: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다 듣지 못한 말들’에서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의 사진 3장과 각종 사료를 공개한다고 18일 밝혔다.

실물이 처음 공개되는 사진은 고(故) 박영심 씨가 미국·중국 연합군 포로로 잡혀있을 당시 만삭이었던 모습이 담긴 사진 1점과 버마(현 미얀마) 미치나 임시수용소의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 여러 명이 모여 있는 모습을 찍은 사진 2점이다.

이들 사진은 아시아·태평양 전쟁 중 미군이 만든 사진 앨범의 일부로, 실물이 국내에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소장한 사진을 스캔한 이미지로만 공개됐다.

버마 위안부 피해자 사진은 1944년 8월 14일, 박영심 씨의 사진은 9월 3일 촬영됐다.연구팀이 사진 뒤 촬영 날짜와 간단한 설명이 적힌 영어 메모를 통해 확인한 사실이다.

박씨의 사진은 중국의 수용소로 옮겨지기 전 촬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박 씨는 당시 배 속의 아기가 수용소에서 유산됐다고 증언한 바 있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 일본군 ‘위안부’ 모습 담은 사진 실물 3장 최초 공개
서울시, 일본군 ‘위안부’ 모습 담은 사진 실물 3장 최초 공개 서울시가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의 모습을 담은 3장의 사진 실물이 3?1 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열리는 전시회 ‘기록 기억: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다 듣지 못한 말들’에서 최초로 공개된다고 18일 전했다. 이 사진들은 서울시와 서울대학교 정진성 연구팀이 지난 3년간 추진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을 통해 확보한 것이다. 사진은 1944년 8월 14일 촬영된 버마 미치나 ‘위안부’ 사진 실물. 2019.2.18 서울시·서울대 정진성 연구팀 제공=연합뉴스
서울시와 서울대학교 정진성 연구팀은 지난 3년간 추진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을 통해 실물 사진들을 찾아냈다. 앨범 없이 낱장으로 흩어진 사진을 작년 9월께 미국의 개인 소장자로부터 구입했다.

사진은 가로 29cm, 세로 21cm로 인화된 상태이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이들 사진은 미군이 1944∼1945년께 앨범 제작을 위해 인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보유한, 다른 인화 사진과 달리 사진 오른쪽 하단에 ‘U.S. ARMY’라는 부대 표식이 있다. 원본 필름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소장하고 있다.

연구팀 관계자는 “군 부대에서 개별적으로 사진을 인쇄해 사진첩을 만들어 유통한다는 사실을 알고 전시를 위해 수소문하던 과정에서 실물 사진의 존재를 알았다”며 “버마 사진 2장은 같은 앨범에, 박영심 씨 사진은 다른 앨범에 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시회는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을 생생하게 전하기 위해 주요 사료를 예술 작품과 엮어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보여준다.

이 같은 사진들 외에 일본인과 조선인의 귀환을 다룬 뉴욕타임스 신문 실물(1946년 3월 2일자), 쿤밍보고서 및 축섬승선자 명부 복제본,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최초 증언한 배봉기 씨의 사진(김현옥 개인 소장) 등이 공개된다.

서울대 연구팀이 중국과 오키나와의 위안부 피해 지역을 답사해 제작한 영상도 만날 수 있다.

전시 기간 매주 주말에는 강연이 열린다.

3월 3일에는 2000년 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에 남측 대표검사로 직접 참여했던 박원순 서울시장과 당시 한국위원회 부대표였던 정진성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의 대담이 마련된다.

앞서 2일에는 박영심 씨를 비롯해 북에서 여생을 보낸 위안부 피해자의 삶을 기록해 온 재일조선인 르포작가 김영 씨가 강연자로 나선다.

전시회는 3월 20일까지 매일 오전 10시∼오후 6시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서울시와 연구팀은 전시회 후 사진 보관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일제의 만행을 세상에 알린 ‘위안부’ 피해자 역시 공로를 인정받아야 마땅하다”며 “서울시는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