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文대통령 만난 김택진·이해진 “국내 벤처 역차별” 작심 발언

文대통령 만난 김택진·이해진 “국내 벤처 역차별” 작심 발언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9-02-07 22:26
업데이트 2019-02-08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벤처 1세대·유니콘 기업 80분간 간담회

文 “창업 생태계 활발해져야 기업 성장
반기업 정서는 빠른 시간내 해소될 것”
업계 “불확실성 최소화 힘써달라” 당부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에서 열린 혁신벤처기업인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문 대통령, 김범석 쿠팡 대표,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에서 열린 혁신벤처기업인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문 대통령, 김범석 쿠팡 대표,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7일 “반기업 정서는 빠른 시간 안에 해소될 것으로 본다”며 “초기에 큰 부를 이룬 분들이 과정에서 정의롭지 못한 것들이 있어 국민 의식 속에 반기업 정서가 자리 잡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청와대 본관에서 80분간 열린 ‘혁신벤처기업인 간담회’에는 문 대통령이 1세대 벤처기업인,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인 벤처기업)인 7명과 마주앉았다. 참석자들은 글로벌 기업 대비 토종 기업이 받는 역차별과 반기업 정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감없이 드러냈다.

간담회에는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와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 서정선 마크로젠 대표가 1세대 벤처 대표로, 김범석 쿠팡 대표,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대표, 권오섭 L&P코스메틱 회장,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는 유니콘기업인으로 참석했다.

이 GIO와 김범석·김봉진 대표 등은 “유니콘기업도 그렇지만 벤처 1세대는 자산 규모가 큰데, 기업이 커질수록 국민 시선이 날카로워지고 있다”는 고민을 대통령에게 토로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최근 기업들은 투명한 기업으로 여러 성취를 이루고 있으니 국민 인식 개선은 금세 이뤄지리라고 본다”고 강조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이 전했다.

기업인들은 외국과 달리 국내 기업에 오히려 규제가 가해지는 역차별 현실도 지적했다. 김택진 대표는 “외국과 달리 우리는 해외기업이 들어오는 게 쉬운 반면 자국기업 보호는 어렵다”며 “정부가 조금 더 스마트해지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이 GIO 역시 “경쟁사가 모두 글로벌 기업인데 이들은 한국에서 다양한 혜택을 받는다”면서 “인터넷망 사용료, 세금 등을 안 내겠다는 게 아니다. 적어도 동등히 적용됐으면 한다. 유니콘기업이 더 큰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기를 북돋워주기 바란다”고 했다. 서 대표는 “규제는 네거티브 규제로, 미래지향적으로 바꿔야 한다”면서 “북한의 의료문제 해결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우리 바이오 산업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산업트레이닝센터를 만드는 등 준비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김범석 대표는 “외자유치가 필요한데 이를 막는 게 불확실성”이라며 “한국 시장은 규제의 폭과 해석이 자주 바뀌는 게 원인이다. 불확실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거들었다. 이승건 대표도 “핀테크는 워낙 규제가 많아 외국 투자자에게 설명하는 것만도 시간이 걸린다. 한국 정책과 제도에 대한 구체적 데이터가 없다 보니 투자 유치가 더 어렵다”며 규제혁신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또 “주 52시간제 취지는 알겠으나 급격히 성장하는 기업에는 또 하나의 규제로 작용한다”며 “엄격히 관리감독이 이뤄지는 곳에는 유연한 대처를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혁신 창업이 활발해져야 하고 이들 기업이 중견기업, 유니콘기업,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창업 생태계가 활발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9-02-08 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