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먹고 마시는 데 정신 팔린 방송/박조원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문화마당] 먹고 마시는 데 정신 팔린 방송/박조원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입력 2019-01-09 17:28
업데이트 2019-01-10 0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조원 한양대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교수
박조원 한양대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교수
방송마다 넘쳐나는 먹방으로 모든 사람이 음식평론가가 돼 가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과거에는 담백함, 고소함, 깔끔함 정도로 표현되던 음식맛 표현도 무척 다양해졌다. 그냥 깔끔한 맛이라고 하지 않고 잡내를 잡아 깔끔한 맛을 낸다고 한다.

이제는 일반인들도 “육즙이 살아 있다”, “풍미가 입안에 가득 퍼진다”,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식감이 조화를 이룬다” 등 전문 음식평론가들이나 구사할 표현을 한다.

이른바 ‘먹방’의 영향일 것이다. 영어로도 발음 그대로 ‘mukbang’으로 표기되는 먹방은 영어 신조어 사전에서도 한국어의 ‘먹다’와 ‘방송’ 두 단어의 앞 글자를 합성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미국 CNN, 영국 BBC 등의 방송에서도 한국의 먹방을 소개할 정도니 그야말로 먹방 열풍이다.

방송 콘텐츠에도 유행이 있어서 먹방 역시 일시적인 현상일 것이라 생각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이제는 시사 다큐멘터리에도 먹는 것이 꼭 들어가야 한다. 여행 프로그램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먹는’ 여행 프로그램이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도 출연자들이 음식을 시켜 먹거나 사먹는 장면이 빠짐없이 등장한다. 유튜브 개인 방송에서나 나올 법한 먹는 프로그램이 지상파, 종편을 가리지 않고 범람하고 있다.

물론 먹방이 새로운 음식을 소개하고 음식 문화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는 점에서 순기능을 수행하지만 방송이 먹고 마시는 데에만 정신을 팔다 보니 시청자에게 미치는 역기능 역시 만만치 않아 보인다.

메뉴판의 온갖 음식이 다 차려진 푸짐한 상을 보고 있노라면 누구나 식욕이 자극을 받을 것이고 이러한 자극이 축적되면 그렇게 먹어야 제대로 먹은 듯한 느낌을 갖게 할 것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발표한 비만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면서 요즈음 방송이 보여 주는 화려한 음식이나 과도한 포식 영상이 불필요한 허기나 식욕을 촉진해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었는데, 응답자의 61.2%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과식 조장 외에도 먹방은 과도한 배달 음식 소비, 검증되지 않은 길거리 음식 소비, 영향이 고려되지 않은 뷸균형한 식습관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부정적인 내용이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먹방의 진짜 폐해는 온통 먹방으로 프로그램이 채워짐에 따라 소비자가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게 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여행 프로그램이 먹방으로 채워짐에 따라 여행지의 문화, 역사, 현지인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기회는 줄어들게 된다. 시사 다큐멘터리가 먹방으로 채워지면 시청자들은 글로벌 이슈나 다른 세계 사람들의 생각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된다.

방송사들이 왜 이렇게 먹방에 집착하게 됐는지 그 이유를 생각해 보면 더 씁쓸하다. 유명 연예인이 무엇을 어떻게 먹는지는 사생활 중의 사생활이지만 일반인들의 관심을 충족시키기 가장 쉬운 콘텐츠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결국 방송사 입장에서 볼 때 먹방은 가장 쉽게 시청률을 올릴 수 있도록 해 주는 거저먹기 식의 콘텐츠라는 의미다. 다양한 플랫폼 간의 경쟁으로 시청률 확보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는 어려움을 감안하더라도 지상파 방송까지 나서서 인터넷의 일인 방송에서나 나올 만한 먹방을 과도하게 편성하는 것은 안쓰러워 보인다.

미국의 미디어 학자 토드 기틀린(Todd Gitlin)이 지적한 것처럼 방송에서 특정 내용이 집중 선택된 결과로 어떤 내용이 점차 배제되고 있는가를 생각해볼 때다.
2019-01-10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