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개성공단 기업인 3월前 방북 기대… 96%가 재입주 원해”

“개성공단 기업인 3월前 방북 기대… 96%가 재입주 원해”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9-01-02 22:24
업데이트 2019-01-03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창근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

2018년은 ‘희망고문’만 하다 지나가
북미 2차 회담 후 공단 가동 거론할 듯
통풍 등 관리 잘되고 있다고 들었지만
안전·설비 점검 등에 6개월 이상 필요
개성공단 입주 1호 기업인인 유창근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이 2일 자신이 운영하는 인천 송도 에스제이테크 내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유창근 부회장 제공
개성공단 입주 1호 기업인인 유창근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이 2일 자신이 운영하는 인천 송도 에스제이테크 내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유창근 부회장 제공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일 신년사에서 개성공원지구와 금강산 관광 재개 의사를 밝히면서 공단 가동의 희망이 되살아나는 모습이다. 지난해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시작으로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사상 최초 북·미 정상회담을 거치며 공단 입주 기업인은 그 어느 때보다도 공단 재개 희망에 부풀었지만 시설 점검을 위한 방북조차 성사되지 못했다.

개성공단 1호 입주 기업 대표인 유창근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은 2일 “기업인 방북은 거의 제약 없이 머지않은 시기에 진행될 것 같다”며 “1·4분기 내에는 가능할 것으로 예측한다”고 말했다.

다만 공단 재개와 관련해 그는 “대북 제재 완화 등 조건이 맞아야 하기에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에 거론되지 않을까 싶다”면서도 “재개 가능성이 커진 것 같아 희망이 보인다”고 했다.

유 부회장은 공단 입주 기업인에게 지난해는 “희망고문의 해”였다고 정의했다. 협회는 4·27 판문점회담에서 공단 재개의 희망을 보고 협회 내에 공단재개 TF를 만들었다. 입주 기업인의 방북도 추진했다고 한다. 하지만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기업인 방북이 곧 공단 재개로 이어질 거라는 대내외의 시각이 존재해 결국 해를 넘기게 됐다.

남북이 공단 재개에 정치적으로 합의하고 미국과 국제사회가 지지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공장 재가동까지는 6개월 이상은 걸릴 것이라고 유 부회장은 예상했다.

공장 재가동에는 시설점검과 바이어 확보, 북한 근로자 보장 등 세 가지가 선행돼야 한다. 그는 “전기·가스·수도 공급 전에 안전 점검도 해야 하고 공장 배관이 녹슬었으면 교체해야 하는데 엄청난 비용이 들 수도 있다”며 “시설 점검만 6개월가량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물품을 살 바이어를 구해야 언제부터 얼마나 생산할지 예측해 공장을 가동할 수 있다. 유 부회장은 “공단 중단 이후 바이어가 다 떠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단에서 일했던 북한 근로자 5만 5000여명이 그대로 복귀할지도 미지수”라고 했다.

다만 유 부회장은 “북한이 의외로 공단 관리를 잘하고 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공장 통풍 등 여러 관리를 하고 있다고 한다”며 “북한도 공단 중단이 이처럼 장기화될지 모르고 관리를 하다가 지금까지 온 것”이라고 덧붙였다.

입주 기업인은 2016년 2월 박근혜 정부의 공단 중단 조치 이후 2년 10개월간 자신의 공장조차 직접 눈으로 보지 못하며 손실만 보고 있는 상황이다. 유 부회장은 “공단 중단 이후 입주 기업 중 40%가 베트남 등 외국으로 이전했고 30%는 국내에 대체 공장을 세웠고, 나머지는 손을 놓고 있다”며 “외국 이전 기업이나 국내 잔류 기업은 개성에서 생산했을 때의 단가를 맞추기 위해 손해를 보며 납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협회 여론조사에서는 입주 기업인의 96%가 공단 재개 시 재입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다만 그중 70%가 공단 중단이 재발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재입주하겠다고 했다. 유 부회장은 “베트남 등 외국의 경우 선발 기업이 거래처와 시장을 선점해 후발 주자가 경쟁하기 어려운 데다가 개성보다 인건비와 물류비는 비싼데 소통의 어려움까지 겹치니 품질 사고나 거래 중단 사태도 잦다고 한다”며 “입주 기업인 대부분은 개성공단에 큰 매력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9-01-03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