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9 서울신문 신춘문예 동화 당선작-심사평] 30장 안팎, 한 문장도 허투루 안 써… ‘목숨과 성장’ 의미 성찰

[2019 서울신문 신춘문예 동화 당선작-심사평] 30장 안팎, 한 문장도 허투루 안 써… ‘목숨과 성장’ 의미 성찰

입력 2018-12-31 17:44
업데이트 2019-01-01 0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영진·박숙경

동화는 산문 장르지만 의미의 함축성과 언어의 리듬감이라는 면에서 소설보다 시에 더 가까운 장르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단편동화를 쓸 때는 낭비되는 문장이 없도록 정확하고 신중하게 문장 하나하나를 아껴 써야 한다.
이미지 확대
심사위원 박숙경(왼쪽)·유영진(오른쪽) 아동문학평론가.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심사위원 박숙경(왼쪽)·유영진(오른쪽) 아동문학평론가.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응원해주고 싶은 투고작들이 많았지만 이런 단편동화의 특성을 정확히 알고 쓴 작품은 많지 않아 안타까웠다.

원고 분량이 적다고 해서 담아낼 수 있는 세계와 의미의 폭발력까지 작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잊지 말기 바란다. 총 161편의 투고작 중 최종 논의한 작품은 모두 4편이었다.

‘먼지’는 2인칭 특징을 활용해 내밀하고 촉각적 감각이 느껴지는 문장으로 시각장애아의 이야기를 그려낸 점이 돋보였다. 하지만 시각으로 세상을 감각하는 어른의 시각이 군데군데 남아 있어 아쉬웠다.

‘뿌리의 열대야’는 일하는 사람이 우리 사회의 근간이라 하면서도 정작 그들을 함부로 대하는 사회적 모순을 그린 점이 눈에 띄었다. 그러나 기층 서민 삶을 전형적으로 그린 것이 아쉬웠다.

‘껍질’은 놀라운 반전의 묘미가 있는 작품으로 나이 듦과 죽음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감동을 준 작품이다.

‘마지막 여름방학’은 한 문장도 허투루 쓰이지 않아 원고지 30장 내외의 분량 속에서도 신화적 공간을 창조하고, 그 속에서 목숨과 성장의 의미를 성찰하게 한다.

두 작품 모두 짧은 이야기로도 죽음과 생명, 인간과 자연의 경계를 너끈히 넘나드는 동화의 특질을 잘 발휘했다. 그래서 우리는 ‘껍질’과 ‘마지막 여름방학’을 놓고 긴 시간 토론을 했다. 최종적으로 어린이의 삶과 더 밀접하고, 의미의 층위가 더 두터운 ‘마지막 여름방학’에 손을 들어주었다.

당선자에게는 축하를, 응모자들에게는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2019-01-01 3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