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탈북민 997명 정보 유출, 후속 대책에 만전을

[사설] 탈북민 997명 정보 유출, 후속 대책에 만전을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18-12-30 21:10
업데이트 2018-12-31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탈북민 정착을 지원하는 경상북도 하나센터에서 탈북민 997명의 개인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유출된 자료에는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가 담겼다. 통일부에 따르면 경북 하나센터에서 쓰는 컴퓨터 1대가 악성 코드에 감염돼 자료가 새나갔다. 비록 주민등록번호나 연락처는 자료에 없었다고 하지만 목숨을 걸고 남으로 넘어와 발 뻗고 살려던 탈북민들에게 신원 특정이 가능한 정보 유출은 치명적이다.

유출 사실을 안 것은 한 달이 지난 뒤였다. 지난 11월 초 해킹범이 경북 하나센터에 보낸 메일을 직원이 열어 보면서 악성 코드가 심어져 자료가 빠져나갔는데도 피해 사실을 까맣게 몰랐다. 사후약방문 격이지만 문제는 지금부터다. 탈북민들 상당수는 신변 위협을 느끼면서 살아간다. 탈북민을 노리고 해킹을 한 것이라면 본인은 물론이고 북에 남은 가족에 대한 위해가 있을 수 있고, 가족을 미끼로 위협도 할 수 있다.

통일부와 경북 하나센터가 창구를 별도로 마련해 2차 피해를 접수하고 있는데 아직 신고는 없다고 한다. 피해 접수를 탈북민들 스스로 해주기를 기다리는 것은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다. 경찰과 협조해 통일부와 하나센터는 경북 지역 탈북민을 직접 만나 모니터링하는 한편 한동안은 이들과 긴밀한 연락 체계를 갖추고 불안을 덜어 줄 필요가 있다. 해킹을 주도한 자를 하루빨리 밝혀내는 것도 중요하다.

2011년부터 2015년 7월까지 통일부와 산하기관에 946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 이번 일은 탈북민 정보가 담긴 문서에는 암호를 설정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컴퓨터에 저장하도록 돼 있지만, 직원이 규정을 어긴 데서 일어났다. 하나센터는 내년부터 업무와 인터넷 영역을 분리해 재발을 막겠다고 한다. 외교·안보와 관련한 사이버전쟁이 일상화한 지금, 여차하면 코 베어 가는 시대에 보다 꼼꼼한 대책이 필요하다.

2018-12-31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