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로 거듭난 공간] “개관 300일 동안 4만명 다녀가… 지역 주민 지지 덕분에 성공”

[문화로 거듭난 공간] “개관 300일 동안 4만명 다녀가… 지역 주민 지지 덕분에 성공”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12-17 17:54
업데이트 2018-12-17 2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민욱 팔복예술공장 예술교육팀장

전주 팔복예술공장의 지향점은 뚜렷하다. ‘창작’과 ‘교육’이다. 두 개의 키워드는 지역주민과의 소통에서 나왔다. 한민욱(48) 팔복예술공장 예술교육팀장은 “팔복예술공장의 밑바탕에 지역주민의 지지가 있다”고 말한다.
이미지 확대
한민욱 팔복예술공장 예술교육팀장
한민욱 팔복예술공장 예술교육팀장
→입주작가 공간이 1층에 있더라.

-입주작가는 외국인 작가 1명을 포함해 모두 12명이다. 입주작가에게는 독립적으로 쓸 수 있는 작업실과 외부 숙소를 제공한다. 독립적인 공간이지만 소통도 한다는 의미에서 1층에 두었다. 입주작가는 지역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권장한다. 공모하는 학생 대상 교육도 원한다면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하던데.

-팔복예술공장을 ‘어떤 용도로 활용해야 하는지’를 지역 주민과 예술가, 전문가, 기자 등 다양한 이들에게 물어보고 치열하게 논의했다. 답은 ‘예술 창작’과 ‘예술 교육’ 두 가지였다. 궁극의 예술 교육은 예술 창작으로부터 나온다고 생각한다. 팔복예술공장 운영도 여기에 기반을 둔다.

→예술교육은 학교에서도 가능하다.

-학교 안에서의 교육을 공교육이라 한다. 그럼 학교 바깥 교육은 모두 사교육인가? 그렇지 않다. 사교육도 있지만 공교육의 또 다른 형태도 있다. 선생님들에게서가 아니라 예술가들에게서 배우는 일이 그렇다. 예술 교육은 점수를 따지지 않고, 순위도 정하지 않는다. 협력활동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공간이 주는 느낌이 각별한데.

-과거 공장이었던 곳이라 공간이 높고 넓다. 학교와 또 다른 느낌을 준다. 학생들이 처음 이곳에 오면 ‘무섭다’고 한다. 왜 무서울까. 낯설기 때문이다. 경험하지 못했던 낡고 거친 공간이어서 그렇다. 그런데 여러 번 오면 ‘재밌다’고 한다. 과거 낯섦을 걷어내고 새로움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곳은 고정된 모양이 없이 입주작가, 전시회, 교육을 계속 바꾼다.

→개관 이후 몇 명이나 방문했나.

-300일 정도 지났는데, 방문객이 벌써 4만명을 넘었다. 홍보예산이 그다지 많지 않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메일, 홈페이지, 온라인 홍보가 대부분이었다. SNS에서 ‘전주 가면 한 번 꼭 가봐라’ 이런 식으로 알려지면서 유명해졌다.

→지역주민으로선 귀찮을 수 있겠다.

-그 반대다. 지역주민은 우리의 지지세력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주 한옥마을은 관광객이 몰려오니 주민으로선 상당히 피곤한 일이 벌어진다. 팔복예술공장은 처음부터 주민에게 설명하고, 어떤 공간으로 만들지 계속 논의했다. 공장 한복판에 있어서 주민들에게 불편하지도 않다. 팔복동 명칭을 따서 ‘팔복’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민들이 많이 좋아한다. 개관할 때에도 주민들 축하 플래카드 8개가 붙었다. 후원해 달라는 것도 아니고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보낸 것이다. 전주시 공무원과 관계자들도 이런 사례는 드물다고 많이 놀라더라.

→B·C동 오픈을 준비 중인데.

-내년 여름 개관을 목표로 공사를 시작한다. 팔복예술공장은 전주 지역 예술창작과 예술교육의 대표적인 거점이 될 것이다. 단순한 관광시설이 아닌, 예술 행위를 하는 곳, 예술을 배우는 곳, 예술을 즐기러 오는 곳이 될 것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12-18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