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집값 올라도 지갑 안 연다

집값 올라도 지갑 안 연다

장세훈 기자
입력 2018-12-06 20:52
업데이트 2018-12-06 2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집값 1%P 상승 때 소비 0.02%P 만 늘어…고령층 노후대비·청년층 대출상환 원인

집값이 오르면 ‘자산 효과’ 때문에 소비가 늘어난다는 통념과 달리 씀씀이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의 주택 보유가 늘고 있어서다. 집이 없는 청년층은 오히려 지갑을 더 굳게 닫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 조사국 이승윤 과장과 최영우 조사역은 6일 조사통계월보에 게재한 ‘주택자산 보유의 세대별 격차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논고에서 “한국 주택 가격 상승이 주택 보유 가구 소비에 미치는 영향(탄력성)은 0.020”라면서 “미국(0.050)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꼴찌에 가까운 수준”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집값이 1% 포인트 오르면 소비는 0.02% 포인트 늘어난다는 의미다. 이는 2013~2016년 표본 가구를 조사한 결과다. 60세 이상 고령층은 탄력성이 0.021로 중·장년층(0.034)보다 낮았다. 39세 이하 청년층(-0.002)도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고령층은 노후 대비 등을 위해, 청년층은 차입금 상환 등을 이유로 지출 확대에 소극적인 경향이 있어서다. 특히 고령층의 주택 보유 비중이 확대되면서 집값이 올라도 소비 증대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을 보유한 고령층은 2013년 361만 가구에서 지난해 464만 가구로 비중이 4.8% 포인트 확대됐다.

무주택 가구는 집값이 오르면 소비가 위축됐다. 집값이 1% 포인트 오를 때 소비는 0.246% 포인트 떨어졌다. 특히 청년층(-0.448)과 고령층(-0.495)의 소비 하락폭이 컸다. 소득과 고용 여건이 취약해 주거비용 증가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8-12-07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