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개봉 영화 ‘도어락’ 공효진 인터뷰

혼자 살아 본 사람이면 안다. 결론은 옆집으로 갈 치킨 배달이 잘못 온 것이었더라도 한밤에 들리는 ‘똑똑’ 소리가 얼마나 무서운지. 외출했다 들어왔는데 묘하게 내가 알던 탁상시계 각도가 아니라거나, 장롱 문이 아주 조금 열려 있을 때의 급격한 깨달음. 절로 모골이 송연해지는 장면들이다.
얘기 내내 활력 ‘뿜뿜’, 실제 공효진은 ‘공블리’라는 수사가 딱인 사람이다. ‘공블리 타이틀’을 ‘마블리’(마동석)에게 넘기겠다는 말을 들었다는 질문에 그가 입을 열었다. “처음에는 말 꺼내기도 민망하게, ‘내가 공블리라고 하면 누가 욕하겠다’ 그랬는데 시간이 거듭돼도 그렇게 불러 주시니 고마운 생각이 들죠. 꽃미남 배우였으면 닭살스러운 별명인데, 동석이 오빠셔서 더 재밌는 거 같아요.”<br>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 제공
오는 5일 개봉하는 영화 ‘도어락’에서 공효진(38)은 평범한 직장 여성 ‘경민’을 연기한다. 직장 근처 오피스텔에 혼자 사는 계약직 은행원인 경민. 밤에 들려오는 ‘또또또또’ 도어록 누르는 소리, 문 앞에 버려져 있는 담배꽁초 등 시시각각 원인 모를 공포가 그를 급습한다. 급기야 그의 집에서 발견되는 한 구의 시체. 입이 떡 벌어진다.

배우 스스로도 ‘지금까지 맡았던 역할 중 가장 평범하다’고 소개하는 경민. 이를 연기하기 위해 ‘베테랑’ 공효진은 어떤 노력을 했을까. 지난달 27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공효진은 “감독님이 ‘각색에 네 이름을 넣어야 하지 않겠냐’고 할 정도로 꽤 긴 시간 시나리오로 투닥투닥했다”고 말했다. 이권 감독과는 데뷔작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1999)에서부터 인연을 이어 왔을 정도로 막역한 사이다.

경민 역의 어려움은 그가 겪는 ‘현실 공포’가 다층적이라는 데서도 온다. 의문의 살인마로부터 오는 생존에 관한 공포와 더불어 실생활에서 여성으로서 겪는 크고 작은 공포가 영화에 겹겹이 쌓여 있다. 실적 좀 올려보려던 은행원 경민이 남성 고객에게 붙임성 있게 말을 붙이다 ‘꼬리친다’며 오해를 사는 대목 등이다. “경민이란 캐릭터가 평범하고 겁도 많아 스릴러 영화 안에서 주인공으로 사건을 헤쳐 나가기에는 제약이 많았어요. 용감하지 않은 여자 얘기를 하는 게 답답했는데 그걸 들키지 않으려고 후시녹음으로 톤을 낮춰 처리하기도 했어요.” 그런 고뇌의 흔적 때문인지 공효진의 경민은 스릴러 주인공치고는 오버스럽지가 않다.
영화 ‘도어락’
영화 ‘도어락’
그간 공효진은 드라마와 영화에서 각각 ‘두 얼굴’의 연기자였다. 브라운관에선 ‘로코퀸’이었지만 스크린에선 더없이 ‘센 캐릭터’로 분하곤 했다. ‘미쓰 홍당무’(2008)의 안면홍조증 교사 양미숙이나 ‘미씽: 사라진 여자’(2016)의 아이와 함께 사라진 중국인 보

모 등이 그랬다. “제가 드라마를 하는 목적은 대중과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함이에요. 집에 있는 엄마·아빠 나이대나 초·중학생 모두에게 메시지를 전하고 싶은 마음이 있거든요. 영화에서는 드라마의 ‘좋은 사람’ 캐릭터를 벗어던지고 싶은 마음에, 좀더 그런 인물(센 캐릭터)들에 끌렸어요.” 반대로 이번에는 ‘그래서’ 경민을 택했다. 스크린에서도 평범한 캐릭터를 선보이고 싶어서.

스스로는 ‘무서운 영화는 잘 못 보는 타입’이라면서도, 공효진은 ‘도어락’ 홍보에 열심이다. 홍보 방안으로 ‘전참시’(MBC ‘전지적 참견 시점’) 출연도 고민했다는 그다. 지난달 23일에는 홈쇼핑에 직접 나가 영화 티켓을 팔기도 했다. “제가 먼저 홈쇼핑 좀 잡아 달라 했어요. 쇼 프로그램에 출연하면 앞에만 잠깐 영화 얘기하고 그만인데, 홈쇼핑은 계속 얘기할 수 있으니까요.”

기자들에게 연신 ‘어떻게 보셨어요’를 묻던 공효진. (영화는 보고 나서 잔뜩 움츠러들었던 근육이 풀리자 급격히 졸음이 몰려올 만큼 무섭다.) ‘현실 얘기라 더 무섭다’는 평에 그는 “저도 혼자 사는데 가끔 집에 있는 경비 시스템이 오작동되면 무서워서 친구랑 영상 통화하면서 밖으로 나간다”고 털어놓았다. 그래도 홍보는 해야 했던 ‘공블리’는 이어 말했다. “영화가 무서우니까 ‘무서우러 오세요’라고 말하기도 그렇고…. 이렇게 어려운 홍보는 처음이에요. 그래도 저처럼 스릴러를 잘 못 보는 사람도 있는 대신 그걸 즐기는 여성분들도 많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매운 떡볶이를 일부러 먹으러 다니는 것처럼….” 실로 매운 떡볶이처럼 활화산 같은 열정이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