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칼럼니스트 박사의 사적인 서재] 파란눈으로 바라본 건물, 그 이상의 공간

[칼럼니스트 박사의 사적인 서재] 파란눈으로 바라본 건물, 그 이상의 공간

입력 2018-11-29 17:48
업데이트 2018-11-29 2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봉주르 한국 건축/강민희 지음/안청 그림·사진/아트북스/356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그들은 그동안 보지 못했던 신선한 것을 찾아 한국에 왔을 테지만, 오히려 우리가 그들의 시선을 통해 우리나라의 건축물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된다. 프랑스 건축가 25인을 따라다니며 주워 듣는 것만으로도 한국에 대해, 현대건축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이 책은 2013년 열흘 코스로 한국의 현대건축을 보러 방문한 ‘일드프랑스건축협회’의 외국 건축답사 프로그램의 기록이다. 외국인의 눈과 전문가의 눈은 이중의 창을 낸다. 우리가 우리 땅의 건축물을 다른 각도에서 내다볼 창.

“우리는 살갗을 통해 감각을 느낀다. 옷이 두 번째 피부라면, 공간은 세 번째 피부이자 우주와 접하는 첫 번째 피부라고 말하고 싶다. 우리는 공간을 통해 우주를 접한다. 미메시스아트뮤지엄은 아주 예민하고 아름다운 살갗이다. 미메시스를 몸에 두르면 외부를, 공간을, 우주를 좀더 깊이 감각할 수 있다.”

이 책은 감각적이다. 단순히 건물의 연혁이나 건축가의 경력을 알려주는 데 그치지 않는다. 건축물이란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공기와 같은 ‘이야기’를 호흡하며 자리잡는지 보여 준다. 주변의 옛 도시와 잘 어울리는 현대적 공간을 만들려고 겸재 정선의 그림 ‘장안연우’를 참조했다는 네델란드와 중국 출신의 건축가들. 전곡선사박물관을 짓고자 풍수지리를 공부하고 배산임수를 적용해 설계했다는 프랑스의 건축가들. 그들은 단지 평평한 땅에 네모난 건물을 지어 올리는 데 만족하지 않는다. 그 땅에 제대로 스며들 수 있도록 살피고 더듬는다.

그와 전혀 다른 행보를 보였다고 해도, 그렇게 지어진 건물은 그 땅의 건물이다. 저자는 ‘서울 역사의 한복판을 가르는 유서 깊은 장소를 차지한’ 엄청난 규모의 이질적인 건물인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앞에서 이 땅의 건물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한다. 스타 건축가의 시그니처 스타일로 지어진 건물, 서울이라는 도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듯한 설계. 이 건물이 가지는 의미는 뭘까. 도시라는 거대한 유기체이자 모든 것들이 뒤섞여 들어가는 용광로 속에 DDP는 자기만의 자리를 만들고 들어앉는다. 서울의 이미지가 된다.

열흘은 길지 않은 시간이다. 서울과 경기도, 제주만 둘러보기에도 빠듯하다. 그러나 그렇게 둘러본 건축물의 목록이 알차다. (구)공간 건축사무소 사옥, 송원아트센터, DDP, 청계천, 쌈지길, 메종에르메스, 오두산 통일전망대, 리움, 이화여자대학교 ECC, 길상사, 포도호텔, 지니어스로사이명상센터 등. 스물네 곳의 이름을 기억하고 찾아가 보자. 이 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2018-11-30 3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