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길섶에서] ‘명당’ 그 후/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명당’ 그 후/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18-11-19 22:16
업데이트 2018-11-19 2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며칠 전 영화 ‘명당’을 뒤늦게 봤다. 영화는 흥선대원군(지성 분)이 지관 정만인(박충선 분)의 조언을 받아 2대에 걸쳐 황제가 나오는 묏자리인 충남 예산 가야사 절터에 선친 남연군의 묘를 이장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다. 그런데 또 다른 지관이자 영화의 주인공인 박재상(조승우 분)은 “그 자리는 2대가 지나면 자기 자손이 죽는 흉지가 된다”며 남연군의 묘 이장을 결사 반대했다. 하지만 대원군은 가야사를 불지르고 금탑자리에 남연군의 묘를 썼다.

그럼 영화 이후의 역사는 어떻게 전개됐을까. 대원군의 아들은 고종황제, 손자는 순종황제가 됐으나 직계 장손은 얻지 못했다. 1868년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보물을 찾기 위해 이 무덤을 파헤쳤지만 도굴에는 실패했다. 대원군이 대로하고 천주교를 더욱 박해하는 등 쇄국정책으로 치달았다. 당시 천주교는 서구문물을 전파하는 역할을 했다. 서구문물을 일찌감치 받아들인 일본에서는 오페르트 도굴 사건 1년 전인 1867년 메이지유신이 시작됐다. 메이지 정부는 부국강병의 기치하에 근대화를 추진해 53년 뒤 조선을 강제병합했다. 남연군의 묘를 가야사에 씀으로써 대원군 후손만 그친 게 아니라 조선의 명맥마저 끊긴 것은 아닌지 궁금해진다.

이종락 논설위원 jrlee@seoul.co.kr

2018-11-20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