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디 아일’

‘클레멘스 메이어’ 동명 소설 영화화
통일 후 모든게 변한 동독의 사람들
통로 안에서 찾은 공동체의 소중함
영화 제목 ‘인 디 아일’(In the Aisles)은 한국어로 옮기면 ‘통로에서’라는 뜻이다. 이 작품에서 통로는 여러 의미를 갖는다. 여기에선 두 가지만 이야기해보자.

첫 번째, 대형마트에 있는 통로다. 이는 영화의 주된 공간이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형마트라는 말이다. 좀 독특한 점이 있긴 하다. 이 대형마트가 옛 동독 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사실이다.

좀 더 덧붙이자면 이곳은 원래 국영 트럭회사 건물이었다. 그런데 1990년 동독과 서독이 통일되자 국영 트럭회사에도 커다란 변화의 바람이 분다. 사기업이 인수를 하면서 트럭회사를 대형마트로 바꿔버린 것이다.

트레일러를 운송하던 트럭 운전사들은 이제 대형마트 물건을 나르는 지게차 운전사로 일해야 했다. 이것은 지게차 운전사가 트럭 운전사보다 못하다는 말이 아니다. 다만 노동자들이 원치 않게 자기 직업을 바꿔야 했음을 강조하고 싶을 뿐이다.
대형마트 장기 근속자인 브루노(피터 쿠스)는 그래서 이렇게 중얼거린다.

“길을 달리던 때가 그리워.”

하지만 대형마트에서 일하려는 크리스티안(프란츠 로고스키) 같은 젊은이도 있다. 수습 직원이 된 그는 브루노와 짝을 이뤄 천천히 업무에 적응해간다.

그런 한편으로 크리스티안은 직장에서 자꾸 관심이 가는 이성도 발견했다. 캔디류 코너 담당 사원 마리온(산드라 휠러)이다. 마리온은 과묵하지만 상냥한 크리스티안에게 호감을 느낀다.

그럼 이쯤에서 두 번째 통로의 의미를 언급해야겠다.

어떤가 하면 그것은 ‘마음과 마음을 연결하는 길’이다. 이런 통로가 없다면 사람들은 고독하게 살 수밖에 없다. 물론 고독 자체가 나쁘지는 않다. 때로 자발적 고독은 삶에 꼭 필요한 법이다. 문제는 강제적 고독이다. 원치 않는 관계 단절은 생의 의지를 꺾는다. 예컨대 이를 철저하게 고립된 생활을 하던 크리스티안에 국한시켜 본다면 어떨까.

그에게 대형마트 통로는 일터이기만 했던 것이 아니다. 그곳은 살가운 브루노, 매력적인 마리온과 만날 수 있는 기쁨의 장소이자 통로의 정의 그대로 ‘누군가와 통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그렇게 대형마트 통로를 인식하는 이에게는 거기가 바로 ‘자연바다’나 다름없다. 그에게는 심지어 지게차가 내는 기계음마저 기분 좋은 파도소리로 들린다. 클레멘스 메이어 작가가 쓴 동명의 단편 소설을 영화로 만든 토마스 스터버 감독은 그 메시지를 다음과 같이 썼다.

“결국 남는 것은 공동체, 따스함, 약간의 행복이란 건 오직 대형마트의 통로에서나 가능한 일이라는 깨달음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그의 서술처럼 이 영화에서 대형마트는 상품을 사고파는 곳 이상의 장소로 그려진다.

정말로 ‘공동체, 따스함, 약간의 행복’이 여기에 감돈다. 대형마트에서 근무하는 동료들의 마음과 마음이 이어져서다. 통로는 혼자서 못 만든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