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조선시대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고창서 출토

‘조선시대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고창서 출토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11-15 22:22
업데이트 2018-11-15 2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점 발견… “누군가 일부러 묻은 듯”

이미지 확대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호남문화재연구원은 전북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사적 제346호)에서 조선시대 시한폭탄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11점을 발견했다고 15일 밝혔다. 사진은 연구원 소속 조사원들이 발굴조사를 진행하는 모습.  호남문화재연구원 제공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호남문화재연구원은 전북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사적 제346호)에서 조선시대 시한폭탄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11점을 발견했다고 15일 밝혔다. 사진은 연구원 소속 조사원들이 발굴조사를 진행하는 모습.
호남문화재연구원 제공
전북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사적 제346호)에서 조선시대 시한폭탄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가 발견됐다.

호남문화재연구원은 무장읍성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수혈(竪穴·구덩이)과 주변 퇴적토에서 비격진천뢰 11점을 발견했다고 15일 밝혔다. 비격진천뢰는 선조(재위 1567~1608) 때 군기시에 소속된 화포장 이장손(생몰년 미상)이 발명했다고 알려진 작렬(炸裂·터져서 쫙 퍼짐) 시한폭탄이다. 외부는 무쇠로 된 둥근 박처럼 생겼고, 내부는 화약과 얇은 철 조각, 발화 장치인 죽통(竹筒)을 넣게 돼 있다. 죽통 속에는 도화선인 약선을 감는 목곡(木谷)이 들어있다. 목곡은 폭파 시간을 조절하는 장치로, 골을 나사 모양으로 팠다. 이번에 출토된 비격진천뢰는 지름 21㎝, 무게 17~18㎏으로 크기가 비슷하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비격진천뢰는 모두 6점으로 그 중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한 점이 보물 제860호로 지정돼 있다. 호남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비격진천뢰가 구덩이에서 무더기로 발견된 점으로 미루어 누군가가 일부러 묻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비격진천뢰가 나온 수혈 인근에서는 포를 설치했던 포대(砲臺) 유적이 발견됐다. 지름 170㎝ 규모의 원형으로 돌을 편평하게 깔아 견고하게 만든 후 흙을 다져 바닥면을 만들었다. 남쪽에서는 포를 거치하기 위해 뚫은 기둥구멍 2개가 나왔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11-16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