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불안과 걱정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불안과 걱정

입력 2018-11-12 17:34
업데이트 2018-11-12 17: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류 발전은 염려의 긍정적 산물 적정한 염려와 긴장은 필수 요소 미래 불안 대비한 과도한 투자 유비무환은 수입의 10% 이내로

이미지 확대
어느 정도의 걱정이 적절할까?

시간 축을 놓고 보면 우울과 후회는 과거를, 걱정과 불안은 미래를 향한 마음의 작동이다. 인간은 지나간 일을 후회하고, 죄책감을 느끼며 우울해진다. 반면 앞날에 일어날 수 있는 위험한 일을 사전에 막거나 미리 준비하는 것을 걱정이라고 한다. 여기에 맞춰 자율신경계를 미리 예열시켜 빨리 반응할 수 있게 하는 불안이란 시스템을 작동한다.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뒤를 돌아보며 문제를 확인해 고치는 것이 ‘반성’이다. 하지만 변화 없이 자기 탓이라고 여기기만 하는 것이 우울의 자책이다. 마찬가지로 앞날을 보며 적당히 염려하고, 미리 준비하면서 긴장하는 것은 필요하다. 일어날 실수를 막고, 능력의 최대치를 발휘할 수 있도록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인류는 집을 만들고, 농사와 목축업을 하는 문명을 만들었다. 모두 미래를 대비한 염려의 긍정적 산물이다.

이렇게 적당한 수준의 염려와 긴장은 필수적이다. 다만 그 수준이 야금야금 올라가고 위험도 인식이 강해지면서 걱정과 불안으로 질적 전환을 한다. 그때부터는 최악의 상황만 생각하게 되고, 파국만 머리에 가득 찬다. 여기에 맞춰 심장은 두근거리고, 근육은 수축돼 힘이 들어가고, 입은 바짝 탄다. 긴장에서 불안으로 넘어가는 것은 한순간이다. 처음 미래를 잘 대비하려고 만든 시스템이 어느 순간 나의 현재를 괴롭게 만들어 버린다. 특히 요새같이 세상이 복잡하게 돌아가고, 경기는 좋지 않고, 사회안전망이 나를 지켜 주지 못하는 시기에는 더욱 미래에 대해 부정적 전망을 하며 과하다 할 만큼 준비를 해야 한다고 믿게 된다. 이런 메커니즘이 불안의 광범위한 증가를 설명한다. 그렇다면 얼마나 걱정과 불안이 많아졌는지 측정할 수 있을까?

불안장애 환자의 증가뿐 아니라 보험 가입자와 보험금 납입 정도로도 유추할 수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보험도 불안과 마찬가지로 미래에 일어날 위험을 대비하기 위해 현재의 자산을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최근 한 보고에 따르면 올해 가구당 보험가입률은 98.4%로 완전 가입에 가깝다. 국민 1인당 보험료는 연간 377만원으로 세계 평균의 5.4배에 달하며, 국내총생산 대비 보험료 지출은 세계 5위 수준이었다. 이런 보험료 지출은 가계 수입 대비로도 매우 높았다. 금융소비자연맹의 조사를 보면 대상 가구 평균소득의 약 18%를 보험료로 지출하고 있었다. 아마 건강보험이나 국민연금 같은 공적 보험을 제외한 수치일 것이다.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우리는 수입의 5분의1을 일어날지 모를 재앙에 대비하려고 사용하는 셈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미래를 부정적으로 보고, 불확실한 변화에 개인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있다는 걱정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 결과 현재의 5분의 1을 포기하고라도 개인과 가족을 위해 앞날을 대비해야겠다고 결정했다는 증거다. 준비는 나쁜 것이 아니지만, 현재를 위해 써야 할 자원까지 미래를 걱정하는 데 사용해 버리니, 필요한 자원은 한참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오늘을 즐길 여유를 불확실한 미래의 안전을 위해 포기하는 것이 현재의 딜레마다. 우리는 미래를 예견할 수도 없고, 모든 것을 사전 준비로 막을 수 없다. 그럴 수 있다고 믿을수록, 그래야 한다고 여길수록 걱정과 불안은 한없이 치솟아 에너지를 미리 소모시켜 버린다. 걱정하느라 에너지를 쓰고 나면 막상 닥친 일들을 대처할 에너지는 모자라기 일쑤다. 그러니 결과물은 만족스럽지 못하고, 자책을 하게 되면서 미래에 대한 불안은 더욱 강해지는 악순환에 빠진 사람이 많다.

이 악순환의 고리를 과감히 끊기 위해서는 아무 걱정 없이 살자는 것이 아니라, 걱정과 불안을 내게 필요한 수준으로 낮춰 필요한 염려와 긴장으로 전환시키려 노력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걱정이 적당할까? 조사해 보니 수입 대비 7~10% 정도가 적당하다고 한다. 지금 내는 보험료 18% 수준이 과하다고 보면 얼마나 줄여야 할지 감이 잡힌다. 마음의 걱정도 여기에 맞춰 줄여 보면 어떨까? 걱정을 줄여 남는 에너지는 오늘을 위해 돌리도록 하자. 일어날지 모를 위험 때문에 오늘의 즐거움을 포기하며 살기엔 인생은 짧으니 말이다.
2018-11-13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