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로 거듭난 공간] “민·관 협업 문화예술공간 운영 첫 사례”

[문화로 거듭난 공간] “민·관 협업 문화예술공간 운영 첫 사례”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11-12 21:08
업데이트 2018-11-12 2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윤진 부산문화재단 문화공간팀장

F1963은 부산시 산하 부산문화재단과 고려제강이 함께 운영한다. 문화예술 공간이지만 내부에 YES24 중고서점, 테라로사 커피숍과 같은 상업 시설이 입점했다. 민과 관이 운영하고 상업 시설이 얽힌 형태다. 최윤진(48) 부산문화재단 문화공간팀장에게 운영 방침 등에 대해 물었다.
최윤진 부산문화재단 문화공간팀장
최윤진 부산문화재단 문화공간팀장
→부산시와 기업이 함께 운영하는데.

-F1963은 민과 관이 협업해 만들고 운영하는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최초 사례다. 고려제강이 20년 동안 부산시에 시설을 장기 임대해 줬다. 운영 기간 역시 어느 한쪽이 독점하지 않고 나눠 쓴다. 예컨대 F1963 메인 전시관인 석촌홀은 365일 가운데 150일을 부산시 부산문화재단이, 고려제강이 215일을 쓰는 식이다.

→재단은 어떤 행사를 주로 기획하나.

-지역과 연관 있는 전시와 공연을 기획한다. 특히 부산의 지역색을 잘 드러내는 전시회를 주로 기획한다. 공연은 재즈, 인디밴드, 힙합, 뮤지컬 갈라 쇼 등 접근하기 쉬운 공연을 다양하게 보여 준다. 공연은 중정 역할을 하는 스퀘어에서 주로 열린다.

→함께 운영하면 어려운 점도 있을 텐데.

-고려제강은 앞서 영국 작가인 줄리아 노피 전시회, 지휘자 금난새 초청 연주회 등을 열었다. 문화재단은 공공성, 또는 무료공연을 추구하는 편이다. 양쪽에서 추구하는 콘셉트가 다르니 자칫 충돌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시민들 입장에서는 일관성이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이미지 확대
→이런 문제들은 어떻게 해결하는가.

-고려제강은 클래식 공연을 주로 기획하고, 부산문화재단은 인디나 재즈 등 대중 공연을 기획한다. 전시도 차이가 있다. 고려제강이 유명 외국작가를 초청하고, 재단은 부산 작가를 부른다면 시민들이 보기에 대비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서로 지향점이 다르다면 결국 협업해야 한다. 일관성에만 초점을 둘 게 아니라 차별성과 다양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시민들 입장에서 다양한 공연과 전시회가 열린다고 생각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정체성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서점, 커피숍 같은 상업 시설도 있다.

-산속에 문화예술 공간 하나만 덩그러니 있다고 생각해 보라. 성공하기 어렵다. 시민들 관점에서 봐야 한다. 문화예술 시설만 있는 것보다 서점, 커피숍과 같은 대중적인 시설이 함께 있으면 편하지 않겠나. 책방에 들렀다가 갤러리에서 전시회를 즐기고 커피나 맥주 한잔 마시다 오후 7시에 공연 보는 식이다. F1963에 가족이나 연인 단위 관람객이 많이 오는 이유다. 물론 상업 시설이 주가 돼선 안 된다. 공간을 보면 알겠지만, 상업 시설들은 ‘폐산업시설의 문화적 재생’의 의미를 그대로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시설을 완비했다. 고려제강에서도 공간과 ‘케미’가 좋은 업체들만 받았다. 문화예술 공간의 정체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상업 시설을 집적화해 성공한 좋은 사례다.

글 사진 부산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11-13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